•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소재 유형에 따른 시각적 특성 연구 (A Study on Visual Characteristics Found in Issey Miyake’s Fashion Material Type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3
17P 미리보기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소재 유형에 따른 시각적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3권 / 1호 / 289 ~ 305페이지
    · 저자명 : 신비라, 박소형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전통적 미의식을 기반으로독창적인 패션 철학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는 소재의 건축가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 사례를 분석하여, 소재의 유형에 따른 시각적 특성을 조형적으로 밝히는데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단행본과 저널 등의 자료를 통한 문헌 연구와 패션 관련 인터넷 사이트, 패션 컬렉션, 패션 서적에서 추출한 시각적 자료를 중심으로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이세이미야케를 대표하는 소재인 플리츠를 선보이기 시작한1989년부터 현재까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이세이 미야케의 사상과 패션에 대해 설명하였다. 둘째, 이세이 미야케 패션 소재의 유형을 에이폭, 오리가미 방식, 데코메트릭, 드레이프 형식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현대패션에 나타난 이세이 미야케 패션 소재의 시각적 특성은 선의 재구성, 유동적인 변형, 입체적 텍스처, 공간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첫째, 선의 재구성은 선의 반복과 중첩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이 만들어내는 입체적인 형태, 역동적인 패턴, 색상 대비를 이용해 시각적효과를 극대화 시켰다. 둘째, 유동적인 변형은 소재의가변성과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형태가 자유자재로 변형 및 확장되어지는 새로운 조형성을 구축하였다. 셋째, 입체적 텍스처는 텍스처의 변형을 이용한 소재 표면의 풍부한 질감 표현으로 독특한 표면 효과를 접목해 소재의 독창성을 추구하였다. 넷째, 공간의 확장은소재 자체에 공간성을 부여한 형태로 기존의 의복 구성의 경계를 허물어 공간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 디자인 자체에초점을 맞춘 기존의 선행 연구와는 달리 이세이 미야케의 소재의 시각적 특성을 조형적 관점에서 연구함으로써, 그 가치를 인식하고 향후 소재 개발 및 창작 영역 확대를 위한 이론적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 소재에 관한 분석은 패션에 있어 예술적 표현의 유기적인 관계에 관한 고찰에 기여하는 것으로창의적인 소재 개발의 응용 가능성과 비전을 마련하는시각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amples of fashion created by Issey Miyake, an architect of materials, continuously revealing his original philosophy of fashion based on Japan’s traditional aesthetic sense and find ou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aterial types formatively. As a study method, this author conducted case study accompanied by reviewing literatures including Korean and foreign books or journals and examining visual materials extracted from fashion-related internet websites, fashion collections, and fashion books. The scope of this analysis covers Issey Miyake’s works from 1989 when he introduced his representative pleats works up until now. Concerning study contents, first, this study explains Issey Miyake’s ideas and his fashion. Second, this author classifies Issey Miyake’s fashion material types into A-POC, the origami type, decometric, and the drape type and analyzes each of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visual characteristics found in Issey Miyake’s fashion materials in terms of contemporary fashion include lines’ reorganization, flexible transformation, solid texture, and space extension. First, lines’ reorganization is shown as new solid forms and dynamic patterns with the free alterations of lines, and lines’ overlapping and repetition maximize rhythmical movement and visual effect.
    Second, with flexible transformation, materials’ variability and the human body’s movement lead to the free transformation and extension of forms, and this constant change realizes the expression of new formative beauty. Third, about solid texture, he integrates the unique surface effect with the rich texture expression of material surfaces using texture transformation to pursue the originality of materials.
    Fourth, concerning space extension, expressing forms adding space to a material itself, he tears down the borders of existing costume designs and extends the range of spac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gained by examin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Issey Miyake’s materials formatively unlike advanced research focusing on his fashion design itself, this author intends to lay theoretical grounds to recognize the value and apply the results as theoretical data to develop materials and extend the areas of creation afterwards.
    Moreover, this analysis on Issey Miyake’s fashion materials does contribute to considering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expressions in fashion therefore, it will be able to provide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applicability and vision to develop creative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