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엇이 미술작품 감상을 어렵게 하는가? (What could be Causes of Difficulty in Appreciating Art Work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12
29P 미리보기
무엇이 미술작품 감상을 어렵게 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교육논총 / 32권 / 4호 / 46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정선

    초록

    이 연구는 초등교육을 담당할 예비교사들이 미술 작품을 감상할 때 어떠한어려움을 경험하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하여 5명의예비교사를 대상으로 ʻ비평문 쓰기ʼ를 과제로 제시하고 각 2회에 걸쳐 Think-Aloud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후 인터뷰와 학생들이 쓴 비평문을 삼각측정으로 활용하여 연구방법을 보완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8개의 의미 주제(보이는 것의 확인, 느낌의 중시, 연결의 어려움, 작가라는 큰 산, 비평은 전문가 영역, 자기 확신의 부재, 빈약한 용어, 준거 틀의 부족)이 도출 되었고, 이를 다시 3개의범주(표면에서 머뭇거리기, 고정 관념에 매이기, 자기 지식을 활용하지 못하기)로정리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작품 감상 과정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앞으로 감상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본 것, 느낀 것, 아는 것의 ʻ연결ʼ과 ʻ활용ʼ에초점을 맞추어 자기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s phenomenological research, aims to figure out what difficulties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take care of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experience when they try to appreciate art works. Fiv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sked to see and think of some art works and to write a short critical essay on them. In order to elicit information on what was going on in the participants' mind while they tried to understand the art works, a technique of Think-Aloud was utilized two times and then, an interview was conducted. Triangulation was used to check the results of the essay and the interview for credibility of this study. The results identified eight factors that prevented the pre-service teachers from sheer understanding of artwork: 'confirming what is superficially seen', 'placing a high value on feelings', 'being unable to connect different ideas', 'being influenced by the authority of the painter', 'viewing criticism as a job of experts', 'lacking self-confirmation', 'having few technical terms', and 'lacking frame of reference'. These factors could b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lingering around the surface of artwork', 'sticking to preoccupied viewpoints', and 'not utilizing background knowledge in their own voice'. It is thus suggested that art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connection between seeing and understanding, and integrated utilization of what learners see, how they feel, and what they know in their own words, which will result in enhancement of the learners' ability to appreciate art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교육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