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효의 미타증성게와 보조지눌 (Wonhyo’s “A Verse on Amita Buddha’s 
Pure Nature” and Bojo Chinu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6.12
29P 미리보기
원효의 미타증성게와 보조지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49권 / 1 ~ 29페이지
    · 저자명 : 김호성

    초록

    미타증성게는 원효의 정토사상을 알 수 있는 텍스트이다. 8구로 이루어진 짧은 시인데, 다행히 보조지눌의 절요에 인용됨으로써 전해질 수 있었다. 선행연구로서 김상현과 한태식(보광)의 연구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보조지눌의 미타증성게 인용을 해석학적 이해의 한 선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말았다. 보조는 돈오점수설을 지지하는 하나의 전거로서 미타증성게를 인용하였으나, 김상현과 한태식(보광)은 공히 미타증성게에 나타난 돈오점수설의 맥락이 무엇인지 천착하지 않았다.
    이 글은 바로 이 점에서 출발하였다. 보조의 돈오점수설은 화엄사상의 기초 위에 놓여있다. 첫째, 발심하는 그 순간이 바로 성불이라는 화엄의 관점이 곧 먼저 돈오를 하고 나서 하는 점수만이 진정한 수행이라는 돈오점수설을 지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둘째, 돈오 이후의 수행이라는 점수 그 자체는 자기의 번뇌를 제거해 가는 자리적 차원의 점수, 즉 유식적 점수가 아니라, 널리 중생을 이롭게 한다는 화엄적 차원의 보현행이었다.
    과연 미타증성게의 제3-4구에서는 초발심이 곧 모든 대립을 넘어서 도에 들어가는 것이라는 입장이 표명되어 있었고, 또 제5구 이하에서는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한 구체적 원행(願行)이 제시되는 구조였다.
    이렇게 미타증성게를 이해하고 나면, 다시 하나의 문제가 더 떠오른다. 바로 미타증성게와 무량수경의 관계이다. 미타증성게는 제1-2구와 7구의 구절로만 보더라도, 그것이 무량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렇긴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과연 한태식(보광)이 생각하는 것처럼, 미타증성게를 무량수경의 내용을 요약하는 중송(重頌)이라고까지 평가할 수 있을 것인가? 나는 그렇지 않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미타증성게와 무량수경 사이에는 거리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미타증성게에 나타난 원효의 무량수경 이해에는 원효의 해석학적 선이해(hermeneutical pre-understanding)가 투영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해석학적 선이해는 바로 화엄사상이었다. 돈오적인 것이었다. 그런데 과연 무량수경도 그렇게 법장보살의 성불이 돈오적이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무량수경에서 법장보살의 성불은 5겁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으며, 수행의 내용은 보살행이었다. 그것도 돈오 이전의 수행이었다.

    영어초록

    “A Verse on Amita Buddha’s Pure Nature” is a text in which Wonhyo’s view on Pure Land is well portrayed. Bojo Chinul cited the poem as one source which supports the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theory, but Kim Sang- hyun and Bo-kwang did not scrutinize the context of the theory that appeared in “A Verse on Amita Buddha’s Pure Nature.”This article began from that point. Bojo Chinul’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theory is based on Avatamsaka. First, the perspective of Avatamsaka, which claims that the moment of spiritual awakening is the moment of attaining Buddhahood, had actually supported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theory. Second, gradual cultivation, which is the self-discipline after sudden enlightenment, was the Samantabhadra practice in the Avataṁsaka dimension, which extensively benefits mankind.
    After understanding “A Verse on Amita Buddha’s Pure Nature,” another problem surfaces: The distance between “A Verse on Amita Buddha’s Pure Nature” and Sukhavatīvyūhasūtra. Can the verse be evaluated as the geya (repeated praise) which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 sutra?I did not see it. It is because some distance exists between “A Verse on Amita Buddha’s Pure Nature” and Sukhavatīvyūhasūtra. That is, Wonhyo’s hermeneutical pre-understanding of Sukhavatīvyūhasūtra is reflected in the verse, and that under-standing is based on Avataṁsaka thought, or sudden enlightenment. On the other hand, Dharmākara Bodhisattva’s attaining Buddhahood in Sukhavatīvyūhasūtra took five kalpas after the practices of the bodhisattva path. It was the self-discipline prior to sudden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