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경하는 아이’ 다르게 보기: 사회적 놀이의 발달단계 벗어나기 (Different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s Onlooking’: Going Beyond Developmental Stages of Social Pla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01
20P 미리보기
‘구경하는 아이’ 다르게 보기: 사회적 놀이의 발달단계 벗어나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 14권 / 1호 / 93 ~ 112페이지
    · 저자명 : 김문정, 이진희

    초록

    이 연구에서는 우리의 시야를 좁히거나 가리는 사회적 놀이 발달단계라는 이론적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론들과 접속하면서 구경하는 아이를 다르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놀이 관찰기록을 다시 보는 과정에서 사진들의 가장자리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분홍빛 곰돌이문양 양말과 우연히 마주치면서, 연구로 들어서게 하는 입구가 열렸다. 연구자들은 과거의 놀이관찰 기록물(일지, 사진, 동영상), 새로운 참여관찰 기록, 교사와의 대화, 연구자들의 데이터~이론과 함께 사유하기, 함께하는 감응적 글쓰기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구경하면서 하나의 놀이 주변에 오래 머무르기도 하고 공존하는 놀이들 사이를 오가며 때로는 감응을 일으키는 놀이 속으로 뛰어 들어가기를 자유로이 선택하는 모습에서 구경하는 아이의 행위성을 발견하는 동시에 구경 자체가 즐거운 놀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경은 놀이 틀을 이해하고 적절히 참여할 순간을 발견하는 유능한 놀이참여 전략의 하나였으며, 또래 간 갈등 상황이나 도움이 필요한 순간에도 의미 있게 작동하였다. 물질적-담론적 배치 속에서 구경~놀이~배움의 물결이 끊임없이 창발하고 중첩하고 회절하고 내부-작용하면서 아이들과 교사, 물질, 시공간이 얽혀가는 관계성을 목격할 수 있었다. 구경하는 아이의 이미지를 다르게 그려냄으로써 표준화된 보편적 발단단계라는 기준에 맞추어 결핍된 존재로 위치시키고 주변인으로 만들어 버리는 성인들의 시선을 바꿀 수 있기를, 나아가 얽힌 관계 속에서 감응을 주고받으며 자신들이 살아가는 세계에 차이를 생성해내는 영유아의 행위성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at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onlooking behavior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y making connections to and diffracting through theories and concepts, while moving away from stage theories of children’s social play development which are often narrowing and blinding our vision. An entry to this study emerged as we unexpectedly encountered with pink teddy-bear socks which were appearing in the edges of several photos in the process of re-viewing play observation records. We generated data from the past play observation records (journals, photos, video clips), new participant observation records, dialogues with the teacher, researchers’ thinking-with-data~theory and joint affective writings. Through the data of onlooking children who freely chose to enjoy watching over a play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move around co-existing plays, or jump into an affect-laden play, we learned about their agency and the value of onlooking behaviors as a joyful play itself. Moreover, their onlooking was one of competent play participation strategies to understand ongoing play frameworks and find the right moment to get involved, and also functioned well in those moments to help peers in conflicts or in need. Entanglements of children, teacher, materials, and space-times were witnessed in our data, as the waves of onlooking~playing~learning constantly emerge, overlap, diffract, intra-act in their material-discursive arrangements. We hope that re-configurations of onlooking children may disturb and unsettle adults’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 as not-yet, immature, lacking subjects based on the standardized, universalized developmental stages and, furthermore, help us to reconsider young children’s agency to affect and be affected in the entangled relationality, and generate differences in the world they l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