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화경약찬게」 수록문헌과 그 특징 (A Documented in Buddhist Literature and its characteristics of BeophwaYakchange (法華經略纂偈))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3.10
33P 미리보기
「법화경약찬게」 수록문헌과 그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철학 / 13권 / 321 ~ 353페이지
    · 저자명 : 이기운

    초록

    이 논문은 「법화경약찬게」의 수록 문헌을 고찰하고 그 특징을 밝혔다.
    법화경약찬게(法華經略纂偈)는 『묘법연화경』의 구성한 내용을 간략히게송으로 편찬한 것이다.
    이 약찬게는 언제 누가 처음 편찬했는지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문헌에도 나타나 있지 않고 우리나라 고려·조선초 문헌에도 그 명목(名目)이 보이지 않다가, 1573년(조선 선조6) 안심사판(安心寺板) 『송념예참원생등부(誦念禮懺願生等部)』의 「법화신중(法華神衆)」으로 그 모습이 보인다. 이 본은 법화경약찬게의 초기본으로, 대승묘법연화경의 대중, 경의 불보살, 교설, 28품, 경의 유통을 간략히 하여 찬탄하는 약찬게(略讚偈)이다. 이후 『예념왕생문(禮念往生文)』 이대경약찬(二大經畧纂) 에서 게송이 증광되어 광본약찬게가 편찬된 것이다. 이 본은 월저 도안(月渚道安, 1638-1715)의 인출(印出)로 의심되는데, 일승묘법연화경의 영산회상설법에 대해서 경의 구성과 내용을 충실히 요약한 약찬게(略纂 偈)의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으로는 용성천오(龍星天旿)가 광서(光緖) 11년(1885, 조종 22년) 합천 해인사에서 개간(開刊)한 법화경약찬게이다.
    이 본은 『화엄법화약찬총지(華嚴法華略纂摠持)』 속에 화엄경약찬게 다음에 들어 있으며 앞의 『예념왕생문』 수록본 약찬게와 형식과 내용이모두 같다. 다음은 근대기인 1931년 최취허(崔就虛)가 불교의례집으로연방사(蓮邦舍)에서 『불자필람(佛子必覽)』 출판했는데 이 속에 『법화경약찬게』가 수록되어 있다. 이후 1935년 안진호는 불교의식을 정리하여『석문의범(釋門儀範)』을 출판했는데 이 속에도 『법화경약찬게』가 들어있다. 이 두 본의 약찬게는 이전의 약찬게를 계승한 증광약찬게로 구성되어 있다.
    「법화경약찬게」의 저자는 “보장보살약찬게”로 시작하고 있어서, 보장보살(寶掌菩薩)이 설한 약찬게의 의미로 볼 수 있지만, 『화엄경약찬게』가 용수보살이 지은 약찬게라고 보기는 어렵듯이, 보장보살은 법화경 「서품」에 18보살 대중의 하나일 뿐이다.
    「법화경약찬게」의 특징은 「법화신중」의 약본(略本)에서 광본(廣本) 으로 증광되었다. 또한 약본은 『묘법연화경』의 대의를 간략히 찬탄하는 약찬게(略讚偈)의 성격이라면, 광본은 이 경의 구성과 내용을 간략히 정리한 약찬게(略纂偈)로 라는 것이다. 끝으로 내용에 있어서 약본은 법화경은 대승의 실상묘법륜임을 드러내고 있고, 광본은 일불승(一 佛乘) 묘법연화경임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Documented in Buddhist Literature and its characteristics of BeophwaYakchange (法華經略纂偈). This manuscript is a concise and poetic compilation of the content of Lotus Sūtra in the format of Ge-Song (偈頌).
    The originator and time of complication of this “Briefly Edited Verses” remain unknown, either in Chinese literature or Korean literature of the Goryeo/early Joseon era. Its earliest reference appeared in the woodblock print of Haeinsa Temple in Hapcheon, published in the 22nd year of the of King Gojong’s reign in the Joseon Dynasty (1885), referred to as the Beophwa Yakchan (法華略纂 「Compilation of Lotus Sutra), originally titled as the Hwaumbeophwayakchanchongji (華嚴法華略纂摠持: Suma of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and Lotus Sūtra). It included the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followed by the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Lotus Sūtra」. This book was compiled by Yongsung Cheono (龍星天旿) on the 11th year of Guangxu era, on the 4th day of the 4th month of Eulyu (乙酉).
    It is included in Buddhist ritual texts such as the Yenyeomwangsaengmun (禮念往生文) and <Compulsory Manual for Buddhists (Bulja Pillam ; 佛子必 覽)>. While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has been extensively recited and studied due to its inclusion in Manual for Buddhist Rituals Seokmunuibeom (釋門儀範) along with 「Dharma-nature Song by Uisang (Uisangdaesabeopseongge)」,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Lotus Sūtra」 has received less attention.
    As the title suggests, the woodblock edition Hwaumbeophwaya kchanchongji (華嚴法華略纂摠持 Suma of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and Lotus Sūtra) comprises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Daebanggwangbul Avataṃsaka Sūtra, Ipbeopgye Varga 118 Chongjimun」,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Lotus Sūtra 」,and 「Lotus Sūtra Vol. 7, No. 26 Darani」. The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is also included in <Yenyeomwangsaengmun>, which is suspected to have been drawn from Zen Priest Woljeo Doan (月渚道安, 1638-1715)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prototype also emerged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was outlined in <Song Nyum Ye Cham Won Seng Deung Bu (誦念禮懺願生等部)> during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date of extraction remains clear, as does its identity of origin with Woljeo's extracted version <Yenyeomwangsaengmun>.
    Since 「Briefly Edited Verses of Lotus Sūtra」 starts with “Briefly Edited Verses of Bojang Bodhisattva (寶掌菩薩),” it may be regarded as succintly edited verses of sermons by Bojang Bodhisattva. However, as 「Briefly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is not considered to be the briefly edited verses written by Yongsu Bodhisattva, Bojang Bodhisattva is only one of the 18 Bodhisattvas within the “Ordination” of the Lotus Sūtra.
    The content of the 「Briefly Edited Verses of Lotus Sūtra」 advocates the Single Buddha-Vehicle (一佛乘) philosophy, the essence of the Lotus Sūtra in which the truth of the one absolute vehicle is unveiled by opening the means of the three vehicles. In doing so, it recounts stories of the practice of enlightenment by all Buddhas (Ten directions and three eras, the bodhisattvas’ practice following all Buddhas, and the public of the Dharma meeting of sudden and gradual (漸頓) who have been reformed.
    Furthermore, it elucidates that 28 items, from 「Buddhist Precepts」 to 「Bohyeon Bodhisattva Gwonbalpum(普賢菩薩勸發品)」, constitute the perfect doctrines and the Exquisite Rule of One Vehicle, and discloses the distribution of this sūtra for reciting, accepting, and believ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