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부에서 온 과학, 내부에서 솟아난 ‘소문과 반응’들 - “적극적 수동성”과 “욕망을 동반한 거부”로 형성된 ‘과학적인 것’ (Science from Without, Reactions from Within :the Paradoxes of “Positive Passivity” and the Impulse to “Reject-but- Desire” expressed in rumor/hearsay in Early Colonial Period Korea)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06
51P 미리보기
외부에서 온 과학, 내부에서 솟아난 ‘소문과 반응’들 - “적극적 수동성”과 “욕망을 동반한 거부”로 형성된 ‘과학적인 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42호 / 95 ~ 145페이지
    · 저자명 : 신지영

    초록

    본 논문은 근대 계몽기 및 식민지기 조선에 ‘과학적인 것’이 ‘이식/유입된 방식’을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에 나타난 ‘소문’의 전개양상 통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적인 것’을 둘러싸고 확산된 소문에서 드러나는 대중들의 반응을 “적극적 수동성”과 “욕망하는 거부”라는 역설적인 말로 표현함으로써, 조선 대중들이 형성해 온 ‘과학적인 것’과의 접촉의 사상과 ‘과학적인 것’을 형성해 온 동력을 밝히려고 했다.
    근대 계몽기 ‘과학’이라는 말 속에는 과학적이지 않은 것들이 포함되었고, 과학의 판단 기준은 ‘서구에서 온 문명인가 아닌가’였다. 즉 서구 문명=‘과학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동시에 ‘과학적인 것’ 주위에는 풍설, 소문, 거부, 배제가 동시에 발생했다. 예를 들어 근대 초기 신문매체에는 외국소식 전쟁소식, 식민지화된 민족에 대한 소식 등이 ‘풍설’과 ‘소문’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한매일신보』와 같은 민족 언론이 사라지고 한일 강제병합이 이루어질 무렵에 번성한다. 대중들이 확산시킨 ‘소문과 풍설’은 서구 문명으로부터 온 ‘과학적인 것’에 대한 호기심이자 동시에 공포의 표현이었다는 점에서 “적극적 수동성”을 띠었다. 또한 ‘과학적인 것’이라는 이름으로 들여오는 식민화에 대한 거부이면서도 동시에 ‘과학적인 것’을 받아들여 주권을 되찾으려는 욕망이 드러났다는 점에서 “욕망하는 거부”였다. 이러한 ‘과학적인 것’에 대한 역설적인 수용태도는 한편으로는 근대/과학/문명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이 되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강한 근대/과학/문명에 대한 욕망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소문과 풍설은 ‘과학적인 것’에 대한 매혹과 식민화에 대한 두려움을 동시에 표현하면서, 그 ‘과학적인 것’을 민족 공동체의 “외부”영역으로 밀어내는 형태로만 “내부화”하는 복잡한 역학을 보여준다. 그러나 소문의 형태로 유입된 ‘과학적인 것’에 대한 적극적 수동성과 강렬한 욕망하는 거부라는 수용방식은, 주체적으로 ‘과학적인 것’을 형성하거나 받아들이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대중들이 모색할 수 있었던 다양한 벡터를 지닌 에너지를 담고 있다.

    영어초록

    Western civilization and science were introduced and imported into Korea during the Enlightenment (late 19th century) and Colonial (early 20th century) periods in Korea. The reactions to Western science and civilization found expression through the repetition of rumors and hearsay, much of which appeared in newspapers such as Tongnip Sinmun (The Independent), Daehan Maeil Sinbo (The Korean Daily News), and Hwangseong Sinmun (The Imperial Capital Gazette).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rumors and speculations, I propose that the public reaction to civilization, science, and the “outside world” -- as expressed through printed rumors about war, foreign countries, railroads, and world fairs, for example -- can be paradoxically summarized by two phrases: “active passivity” and “reject- but-desire”. These seemingly incongruous word combinations reflect the nature of Koreans' contact with Western civilization in these periods, and how they formed their thoughts and reactions to these new phenomena.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Korean public simultaneously accepted and rejected foreign influence in these periods through the creation and diffusion of rumors and speculation. Much of the news about foreign countries, colonized territories, and nations at war that appeared in nascent Korean mass media amounted to little more than baseless rumors or hearsay. Railroads, for example, often understood as a technology that introduced western culture as well as colonization, were the subject of a great deal of groundless rumor that resulted in public revolts against their implementation. The rapid diffusion of the (false) information about railroads attests to both the intense curiosity about (interpreted here as desire), and fear of modern civilization, science, and outside forces. I have termed this contradictory attitude “positive passivity”. Positive passivity gives rise to the resistance to, and rejection of colonization and foreign influence, on the one hand, and the desire for and acceptance of the ideas they brought with them on the other in order to achieve sovereignty. I call this ambivalence a tendency to “reject-but-desire”, whereby the rejection bespeaks a desire for that which is rejected. In short, this self- contradiction and ambivalence towards civilization and science mirror the criticism and desire for the same.
    The publication of rumors and hearsay about western civilization and science effectively situated these things “outside” the community by emphasizing their “foreignness”, but by doing so, they were ironically internalized in very complex and entangled ways. Due to the colonial situation, there was a resistance to wholesale acceptance and adoption of the foreign influences pouring into the country. Therefore, the paradoxes of “positive passivity” and “reject-but-desire” were the only attitudes that could be expressed towards “the scientif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