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꺼래이」를 통해본 백신애의 문학적 성장과 1920~30년대 러시아 한인 이주민들의시대상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Literary Growth of Baek Sinae and Phases of the Times of Korean Immigrants in Russia in the 1920s and 1930s through 「Kkeoraei」)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8
33P 미리보기
「꺼래이」를 통해본 백신애의 문학적 성장과 1920~30년대 러시아 한인 이주민들의시대상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예창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창작 / 16권 / 2호 / 9 ~ 41페이지
    · 저자명 : 김태옥

    초록

    이 논문은 「꺼래이」 자세히 읽기를 통해 백신애의 문학적 성장 과정과1920~1930년대 러시아 연해주 지역 한인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백신애의 러시아 행 시기와 목적을 추적하는 데 근거가 될 수 있는 「나의 시베리아 방랑기」와 19세기 말 20세기 초러시아 극동 지역의 역사 자료들을 활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많은 연구들에서 백신애의 「꺼래이」가 지니는 문학적・역사적의의들에 대한 강조가 있어 왔지만, 이 작품에 대한 세부적이고 개별적인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동안 주목받아 왔음에도 독립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꺼래이」 연구를 위해 1934년 발표된 「O래이」와 개작되어 1937년 발표된 「꺼래이」를 자세히 분석하고 있는 것이 본 논문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O래이」와 「꺼래이」는 러시아 연해주에서 포로가 된 조선 이주민들의 궁핍한 삶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 소설로, 주제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시점을 비롯하여 작품 구성과 전개에서 차이가 나는 부분들이 상당수 존재하고 있다. 특히 혁명가, 민족주의자로서 순이와 여성으로서의 순이가 팽팽한긴장 관계를 유지하며 종결되고 있는 「꺼래이」(1937)의 마지막 장면은 백신애의 문학적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이 작품의 클라이맥스라고 할 수 있다.
    1920~1930년대 러시아 극동지역 조선인 이주민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소중한 자료로서의 가치도 지니는 이 작품에 대한 연구는 백신애 탄생 110 주년을 기다리고, 러시아 혁명 100주년, 한인 강제이주 80주년을 맞이하는이 시점에서 대단히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a process of Baek Sinae’s literary growth and the lives of korean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s from 1920s to 1930s through reading 「Kkeoraei」. And the author of this ariticle have used 「My Siberian Wanderer」which can help Baek Sinae’s purpose to trace the time and historical materials of Russian Far East region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Until now, many studies have emphasized the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Baek Sinae’s 「Kkeoraei」, but it have not been conducted specially and individually. It is a great feature of this thesis that analyzed between the 「Kkeoraei」published in 1937 which had not been independently and adapted 「Kkeoraei」published in 1934.
    「Kkeoraei」is a novel depicting as the deprived life of Korean immigrants who captured in Russia’s Maritime Province. In comparison ot two works(1934, 1937) there in no big difference of the theme,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constitution and development of the works. In particular, the final scene of 「Kkeoraei」(1937) has been terminated with a tense tension between Sunui as a woman and a woman as a nationalist. This can be seen as a climax of this work that can confirm the literary growth of Back Sinae. The study of 「Kkeoraei」is worth as a valuable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lives of Korean immigrants form the russian Far East in the 1920s and 1930. Also, It is a very meaningful work waiting for Baek Sinae’s 110th anniversary of birth and 100th anniversary of the Russian Revolution and 80th anniversary of Korean-forced mig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