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헤이안 시대의 여성문학과 일상 정경의 남녀관계학 -탈것과 새 울음소리에 주목하여- (Women’s Literature in the Japanese Heian Period and Male-Female Relationship Dynamics Represented in Scenes from Everyday Life -Focusing on vehicles and birdsong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7
37P 미리보기
일본 헤이안 시대의 여성문학과 일상 정경의 남녀관계학 -탈것과 새 울음소리에 주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44권 / 241 ~ 277페이지
    · 저자명 : 이미숙

    초록

    본고는 <가게로 일기>와 <겐지 모노가타리>라는 일본 헤이안 시대를 대표하는 여성문학 텍스트에 형상화된 탈것과 새 울음소리의 작품 내 쓰임에 주목하여, 이들 일상 정경이 단순한 이동수단이나 계절을 알려주는 자연 풍물로서만이 아니라 타고 있거나 듣고 있는 사람의 처지와 상황을 독자로 하여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지표로 전화하고 있는 양상, 그리고 이들 묘사를 통해 읽어낼 수 있는 남녀관계의 구도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가게로 일기>와 <겐지 모노가타리>를 비롯한 헤이안 시대 여성문학에서 탈것은 인간관계, 특히 남녀관계의 역학구도와 그 관계성의 내실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거나, 한 남성을 사이에 둔 여성들 간의 갈등을 비추는 잣대의 하나로 쓰이고 있다. 탈것을 잣대로 바라보았을 때 헤이안 시대의 남녀관계는 구도 상 수레를 함께 탈 수 없고 남성이 찾아오기만을 기다리는 관계, 수레를 함께 탈 수 있는 관계, 수레를 타지 않아도 바로 만날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에 여성이 거처할 수 있는 관계, 한집에서 동거하는 삶 등으로 남성과 여성의 관계, 남성과 여성의 거리를 조감할 수 있다. 헤이안 시대 여성문학에서는 일상생활 속의 탈것을 제재로 하여 남녀관계의 거리를 구상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헤이안 시대 여성문학에는 두견새와 휘파람새라는 새와 새의 울음소리를 통해 남녀 간의 관계구도 및 인간관계를 드러내는 기법도 쓰였다. <만요슈> 이래 일본 고전문학에서 많이 등장한 새로는 두견새와 휘파람새를 들 수 있다. 휘파람새는 매화와 결합하여 이른 봄을 알려주는 밝은 이미지의 새로서 일본인의 의식과 와카 전통 속에서 공고화 되었으며, 5월의 경물인 두견새는 밤의 적막함과 그늘에 숨어 있는 어둠의 새로서 사람들 마음속의 그리움이나 정한 등을 일깨우는 역할을 지니고 있었다. 두견새 울음소리는 헤이안 시대의 여성문학 속에서도 기존의 고정된 이미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반해 휘파람새 울음소리는 헤이안 시대 여성문학, 특히 ‘기다리는 여자’의 자기서사인 <가게로 일기>에 이르러, 남성을 기다리는 여성의 기다림을 형상화하는 작품 기조에 맞추어 일상 속 기다림을 드러내는 제재로 그 쓰임새가 전화되었다.
    탈것과 새 울음소리라는 일상 정경이 헤이안 시대 여성문학의 중요한 제재로써 남녀 간의 관계구도를 형상화하거나 남성을 사이에 둔 여성 간의 관계구도를 드러내거나 작품 속에서 비유적으로 쓰인 것은 헤이안 시대 여성문학의 주된 담당 층이 여성이라는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남성과 달리 활동의 폭이 좁았던 여성 작가는 일상적으로 접하고 있던 일상 정경이라는 필터를 통해 인간관계의 구도를 조망하였다. 수레는 귀족들의 일상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이동수단이었기에 추상적인 남녀관계의 거리가 구상화되어 독자의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었으며, 집안에서도 사시사철 들을 수 있는 새 울음소리는 남성의 방문을 신경을 곤두세우며 기다리던 헤이안 시대 여성문학의 주된 향유 층이었던 여성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제재이기도 하였다. 결국 일상 정경의 제재화는 좁은 활동 공간 속에서 삶을 영위하였던 헤이안 시대 여성 작가의 일상성에 바탕을 둔 글쓰기 전략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vehicles and birdsongs appear in the Kagerounikki and the Genjimonogatari, the representative texts of women’s literature of the Japanese Heian Period, and considers the ways in which they are not merely modes of transport or phenomena of the natural world marking the passing of seasons but are also tools that allow the reader to understand the emotional state of the character riding the vehicle or listening to the birdsong. In addition, the paper also explores how their descriptions provide insight into male-female relationship dynamics during the Heian Period.
    Vehicles are a means of naturally expressing the dynamics of human relationships, particularly those between men and women, as well as the conflict between women over men, in the women’s literature of the Japanese Heian Period, such as Kagerounikki and Genjimonogatari.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can be expressed in the following ways through the medium of the vehicle: the relationship of the woman who cannot ride at the same time with the man and has to wait for him, the woman that can ride with the man, the woman that lives in such a close proximity to the man that there is no need to ride the cart, and the woman that lives on the same house as the man.
    The lesser cuckoo and the bush warbler and their birdsongs are also used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between men and women in women’s literature of the Japanese Heian Period. The lesser cuckoo and the bush warbler are birds that appear often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from the Manyousyu. The bush warbler is a bird with a bright image that, in association with the plum blossom, marks the coming of spring. This image has become established in the Japanese consciousness and the waka tradition. The lesser cuckoo, which forms part of the May scene, presents an image of the stillness of night as a bird hidden in the shadows, and brings to mind notions of longing. This established image of the lesser cuckoo and its birdsong are also present in the women’s literature of the Japanese Heian Period. The image of the birdsong of the bush warbler, on the other hand, has been transformed in the women’s literature of the Japanese Heian Period – in particular in Kagerounikki, which is a self-narrative text of a “waiting woman”—to represent waiting in everyday life.
    The way in which scenes of everyday life featuring vehicles and birdsongs were an important topic of women’s literature of the Japanese Heian Period, and how they were used as metaphors to represent the relationship dynamics between women and men or the conflict between women over men is associated with the fact that the authors were women. Due to the limited nature of the activities that they could engage in, female authors explored human relationships through the filter of everyday life. The cart was an important mode of transportation for the nobility at the time, allowing it to be a suitable medium to express the distance between men and women in a way that the readers could empathize with. Birdsongs, which could be heard from the house throughout the year, were also a similarly functioning medium for female readers who would spend their time anxiously waiting for visits from men. In other words, the use of such scenes from everyday life as motifs can be regarded as a strategic choice made by female authors of the Japanese Heian period whose living space and freedom were limi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