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페미니스트 활동가의 기본소득 인식에 대한 탐색 : 기본소득과 페미니즘을 함께 말하는 것의 의미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Basic Income in the Feminist Activists : Meaning of Demanding Basic Income and Feminism Together)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2.08
39P 미리보기
페미니스트 활동가의 기본소득 인식에 대한 탐색 : 기본소득과 페미니즘을 함께 말하는 것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판사회정책 / 76호 / 114 ~ 152페이지
    · 저자명 : 이지은, 김교성

    초록

    이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기본소득의 중요한 전략적 행위자 중 하나가 페미니스트 활동가임을 가정하고, 이들의 인식 속에서 기본소득의 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하여 기본소득과페미니즘을 ‘함께’ 말하는 것의 의미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여성단체 활동가를 포함하여 자신을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하고 있는 기본소득 활동가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기본소득을 찬성하는 활동가는 1차 재난지원금의 경험을 경유하여 기본소득을 권리 개념으로 독해하고 있으며, 자신의 활동경험에 비춰 가정폭력의 가해자와 고용주로부터 착취적 의존을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노동윤리 및 가족윤리와 무관하게 지급되는 기본소득은 탈-임노동의 가능성을 열어놓는동시에, 자율의 영역을 돌봄과 정치적 행위로 확장시키고 공통에 기반한 연대로 재구성할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반면 기본소득이 페미니즘의 전망을 담지할 수 없다는입장은 구조의 변혁불가능성을 가정하거나 ‘기초수준의 생활보장’으로 개념화함으로써 기본소득의 재정적 실현가능성과 지급수준의 충분성에 회의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공유부 배당론으로 기본소득을 요구하는 것은 수많은 돌봄을 포함한 비시장적 관계가 번성할 수 있는 공유지의 회복과 맞닿음으로써 보편적 돌봄의 가치와 상응할 수 있다. 공유부 배당의 기본소득과 페미니즘을 함께 말하는 것은 반차별과 공통성을 함께 말함으로서 연대정치를 강화하고 돌봄 사회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정치로 자리매김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depth meanings of demanding basic income andfeminism ‘together’ by grasping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basic incomein the perception of feminist activists. For the analysis, a case study was conductedon basic income activists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feminists, including activistsfrom major women’s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tivists in fovorof basic income identified basic income as a concept of ‘rights’ through theexperience of the emergency relief fund, and the possibility of escaping theexploitable dependency from the perpetrators of domestic violence and theemployer. In addition, the basic income, which is paid regardless of work ethicand familialism, opens up the possibility of post-work and reveals the possibilityof expanding the realm of autonomy to caring and political action and reorganizingit into solidarity based on comm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nt whosebasic income cannot support the prospects of feminism expressed skepticism aboutthe financial feasibility and sufficiency of the payment level by assuming structuralimmutability or conceptualizing it as a ‘guaranteed minimum income’. However,demanding a basic income as common wealth dividends could correspond to thevalue of universal care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storation of the commonswhere non-market relationships including numerous care can flourish. Demandingcommon wealth dividends and feminism ‘together’ would develop in the directionof strengthening solidarity politics by talking about anti-discrimination andcomm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판사회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