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동에 대한 모든 것: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까지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텍스트 마이닝 분석 (All About Labor: Text Mining Analysis of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rom the 2007 to 2015 Revised Curriculu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9.12
30P 미리보기
노동에 대한 모든 것: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까지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텍스트 마이닝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시민교육연구 / 51권 / 4호 / 301 ~ 330페이지
    · 저자명 : 한미경, 윤다인, 최윤정

    초록

    청소년 노동 비율의 증가와 더불어 학교 노동인권교육에 대한 공감대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학교 교과 중 노동과 관련한 개념과 현상을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고,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가장 명확하게 반영하는 교과인 사회과에서의 노동인권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책무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사회과 교과서 34종에 나타난 노동인권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지난 10년간 사회과 교육에서 노동인권교육의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탐구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기반으로 한 연관규칙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노동인권교육의 내용을 개정 시기에 따라 횡단 분석, 하위 교과목별 특성에 따라 종단 분석하였다. 사회과 교과서 내 노동인권교육은 2007 개정기 세계화에 따른 노동 시장의 변화를 반영하였고, 2009 개정기 노동자의 인권을 중심으로 노동 관련 주제를 논의하기 시작하였으며, 2015 개정기 인권교육의 일부로서 접근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과목별로는, 사회(통합사회)는 시기별로 변화하는 노동 관련 이슈를 반영하는 양상을 보였고, 경제는 노동을 생산요소의 일부로서 효율성을 강조하던 시각에서 노동의 주체와 노동자 권익에 대한 내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법과정치(정치와 법)는 이론 및 정보 제공에서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법 지식과 의사결정능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모하였다. 사회·문화는 경제적 소외계층의 고용과 노동 복지에 꾸준히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과를 중심으로 학교 노동인권교육의 과거와 현재를 실증적으로 조망하고, 양적·질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Mindful of the increase of teen labor force participation, this study explored what, to what extent, and how labor rights have been discoursed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during the last 10 years. Adopting the Text Mining method, this study analyzed 34 social studies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national curricula from 2007 to 2009 and 2015 revision periods. Labor rights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reflected the changing discourses and perspectives regarding labor in and outside Korean society at large. The function of labor as part of the means of production given the fast-growing global economic market was emphasized in the earlier editions, while more emphasis on labor rights as part of basic human rights was placed in the later curricular revision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subject areas was also noticeable. Politics and Law textbooks, whose narratives on labor focused on explaining associated theories and specific legal provisions previously, switched its discourse putting emphasis on practical legal knowledge for the youth and case-based decision-making skill development in the later period. Society/Culture textbooks, unlike the other subject areas, displayed its consistent attention to the labor welfare and inequality for the economically underprivileged. The result of this study, by providing the empirical evidences of the past and present of labor rights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dvancement of labor rights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