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정시의 목소리는 누구/무엇의 것인가?-누구/무엇의 목소리인가? (A Study on the Poetic Voices-Who or what speaks in poet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09.10
24P 미리보기
서정시의 목소리는 누구/무엇의 것인가?-누구/무엇의 목소리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39호 / 103 ~ 126페이지
    · 저자명 : 조강석

    초록

    본고는 시 연구에 있어 내재적 분석론과 외재적 환경론이 길항하는 지점을 시 내부에서 찾아보려는 시도로 씌어졌다. 이런 문제의식을 개진시키기 위해 본고에서는 서정시의 목소리는 누구/무엇의 목소리인가를 묻고 이에 대해 차례대로 서정적 자아, 시적 화자, 시적 주체라는 답변들을 검토했다.
    서정시의 목소리를 바로 작가의 목소리로 읽는 낭만주의적 관점 하에서 그것은 서정적 자아의 목소리로 설명된다. 이 경우, 서정시는 작가 자신의 정서를 표현한 결과물이므로 우리의 관심이 일차적으로 작가에 집중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서정시의 목소리와 작가의 목소리를 동일시하는 관점은 애초 서정시가 작가의 내적 정서와 감정을 표현한 것이라는 전제에 기초한 것이다. 그러니까, 이때 서정시는 세계를 작가의 내부로 끌어당기는 데서 성립하는 것이지 작가를 세계의 사태들로 혹은 물적 환경으로 푸는 데서 성립하는 것이 아니다. 이 경우 애써 축적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방법론을 승인하는 순간 서정시의 존재론을 잃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서정시의 목소리를 텍스트 내재적 차원에서 검토하기 위해 일군의 논자들은 시적 화자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엿듣는 발화’라는 정의가 잘 설명해주듯이 이때, 독자의 관심은 이 독백을 발화하는 화자에게 집중되는 것이 틀림없지만 이 관심은 작품 바깥에 놓인 제반 환경에까지 이르지 않는다. 주로 신비평 논자들이 고안해낸 이 답변에서 실상 화자는 모순된 지위에 놓이게 된다. 화자는 작품안과 밖에 곤란하게 걸쳐서 발생하지도 못하고 구성되지도 못하는 곤경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시 연구에 있어 연구자가 근대 시인을 탄생시킨 제반 물적, 정신적 환경을 고려하되 그것을 내재적 연구와 길항시키고자 한다면 서정시의 목소리를 이질적인 담론들이 교차하는 자리에서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주체(들)의 목소리로 풀어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이때, 비로소 우리는 서정시에서 내재적 분석론과 외재적 환경론이 길항하는 장소를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way to combine the intrinsic approach to poetry and extrinsic filed study, which is widely known cultural study. To make both approaches converge, we need to examine the voices in poetry. In poetry, who or what speaks?
    The ‘lyric self’ has been long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answer for this question. It is based on the Romantist belief that poetry is the expression of the poet’s emotion and feeling. According to this belief the voice of a ‘lyric self’ can be directly regarded as that of a poet himself. In this case, the whole outer world contracts into the poet’s inner side mind. The world merely exists as the result of the projection of the poet’s mind.
    New critics had an strong opposition to that idea. So, they suggested the concept of ‘poetic speaker’ or ‘persona’. These concepts imply that who or what speaks in poetry has nothing to do with the poet himself. They suggest we focus on a individual poem, and the dramatic situation in a poem. As a result, they closely examine the speaker’s role and attitude in a poem. In that case, the outer atmosphere and cultural backgrounds, which might be closely related with a making of a poem, are totally excluded. Metaphorically speaking, ‘the poetic speaker’ or ‘the persona’ builds his own world in a vacuum.
    With these two concepts, we cannot go further in analyzing and explaining poetry.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the spot in a poem where the inner voice and outer cultural backgrounds converge. Right in this sense, we need to consider the voices in poetry as the voices of ‘poetic subjects’, as the very spots where various contexts and discourses are crossed and knotted.
    Through the concept of ‘poetic subject’, we can unveil the voices in poetry along the inner textual flow and under the outer cultural backgrounds. By that way, we can make a poem develop from within toward nets of abounding contexts and discour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