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표도르 솔로구프의 『작은 악마』에 나타난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도피적 예술관 (‘The Dionysian’ in Fedor Sologub's The Petty Demon and its Aesthetic Escapis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3.09
28P 미리보기
표도르 솔로구프의 『작은 악마』에 나타난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도피적 예술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슬라브학보 / 38권 / 3호 / 21 ~ 48페이지
    · 저자명 : 차지원

    초록

    본 논문에서는 상징주의 세계관과 미학에서 미와 예술창작 등의 본질적 계기로 정초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의미가 솔로구프의 소설 『작은 악마』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솔로구프의 소설 『작은 악마』는 상징주의 예술이 ‘디오니소스적인 것’에 부여한 미학적 의미를 오롯이 담아낸다. 이 작품에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사샤와 류드밀라의 사랑의 에로티시즘을 통해 특히 예술이 이 세계의 “물질적 존재의 ‘악몽’”을 극복하고 솔로비요프적 의미에서의 천상과 지상의 전일성을 회복한 높고 아름다운 현실이 될 것이라는 상징주의의 미학적 유토피아 사상을 형상화한다. 사샤와 류드밀라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상징주의의 기저 신화인 미학적 유토피아와 생예술의 이념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지만, 동시에 그 이면에서 이 이념들의 현실에서의 성립가능성에 대한 솔로구프의 회의를 뚜렷이 증명해주고 있다.
    또한 『작은 악마』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솔로구프의 비관적 예술관을 비추어준다. 사샤와 류드밀라의 사랑을 통해 엿보이는 ‘높은’ 세계로의 출구는 다만 한시적인 위안이며 찰나의 꿈에 머무른다. 솔로구프에게서 예술은 “고립된 의식 속에서의 주관적 환상이라는 어두운 도피적 비전”으로 추락하고 생예술의 비전은 폐기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will take a closer look at how the idea of ‘the Dionysian’ is implemented in Fedor Sologub's novel The Petty Demon. The Petty Demon fully captures the aesthetic meaning that the Russian symbolist art gave to ‘the Dionysian’. In this work, ‘the Dionysian’ which is found in the eroticism of love between Sasha and Lyudmila embodies the idea of the aesthetic utopia of symbolism that art could overcome the “nightmare of material existence” of this vulgar world and restore the unity of heaven and earth in the sense of Solovyov’s philosophy.
    While ‘the Dionysian’ of Sasha and Lyudmila's love concretely embodies the ideas of the aesthetic utopia and lifecreating art, which are the basic myths of symbolism, at the same time it clearly demonstrates Sologub’s doubt about the feasibility of these ideologies in reality (жизнеспособность).
    ‘The Dionysian’ in The Petty Demon is espoused by Sologub's pessimistic view of art. The exit to the ‘higher’, divine world which is seen through the love of Sasha and Lyudmilla is only a temporary consolation and a transient dream. In this reality, the ecstasy of love is only possible in the closed room where Sasha and Lyudmila meet, and only through Lyudmila's dreams and lies. Sologub's pessimistic view of art, which denies art’s ability to transform reality, is combined with his pessimistic view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