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깡의 응시에 비추어 본 메를로-퐁티의 가시적인 것의 깊이 (La profondeur dans le Visible chez Merleau-Ponty et le regard chez Laca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0.08
24P 미리보기
라깡의 응시에 비추어 본 메를로-퐁티의 가시적인 것의 깊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정신분석 / 12권 / 1호 / 151 ~ 174페이지
    · 저자명 : 정지은

    초록

    메를로-퐁티 사후에 유고들을 모아 출판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과 그가 죽기 직전에 잡지에 기고했던 글인 눈과 정신은 가시적인 것을 살과 키아즘이라는 존재론적 원리를 통해 해명한다. 이 두 책이 출판된 시기는 라깡이 처음으로 고등사범학교에서 임상가들이 아니라 철학자들과 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미나(세미나 11)를 진행하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 세미나에서 라깡은 ‘대상 a로서의 응시’라는 장에서 메를로-퐁티를 언급한다. 다른 감각들과는 달리 시각은 의식과 가장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면서,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무의식으로의 분절이 가장 일어나기 쉬운 감각이다. 따라서 철학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신분석학에서의 시각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논문은 라깡의 관점에서 메를로-퐁티의 시각 이론을 바라보고, 후기 메를로-퐁티의 존재론의 입장에서 라깡의 응시를 바라봄으로써 시각적인 것의 장의 새로운 국면을 전개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라깡의 응시와 메를로-퐁티의 시각 이론을 근거로, 시각적인 것의 조건이자 그것의 부정성으로서의 깊이를 시각장에 내재화함으로써 존재와 무, 존재와 심연 등과 같은 형이상학적 존재론과는 다른 존재론, 즉 현실과 환상이 교차하는 보다 근본적인 세계의 살의 존재론의 원리적 근거를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기대한다.

    영어초록

    Dans Le visible et l’invisible qui est basé sur le manuscrit posthume et L’oeil et l’esprit, Merleau-Ponty elucide le Visible par le chiasme qui sont le principe ontologique. Et l'année de la publication de ces deux livres corresponds à l'année où Jacques Lacan fait le séminaire pour la première fois à l'école normal supérieur face aux public qui ne sont pas des analysants mais des rechercheurs de la philosophie(Séminaire XI). Dans ce séminaire, particulièrement dans la parite de ‘du regard comme objet petit a’, Lacan réfère à Merleau-Ponty. Alors, ce travail compare la philosophie de Merleau-Ponty avec la psychanalyse de Lacan sur le sujet de la vision. Le regard chez Lacan préexiste dans le champ visible et il est comparable avec l'invisible dans le visible. Cet invisible constitue le point aveugle(punctum caecum) à partir duquel l'oeil sent la profondeur. La profondeur est la négativité dans le Visible d'où le phantasme se fait dans le sujet. Et le point aveugle et la profondeur est aussi la cause du mouvement à la fois actif et passif de l'oeil. Le schize entre le voyant et le vu dans le corps prorpe se produit dans le champ vi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정신분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