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화-사진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사진적인 것’을 중심으로- (The study about identity of painting-picture -Focusing on 'the Photographic'-)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2
8P 미리보기
회화-사진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사진적인 것’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8권 / 1호 / 97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인숙

    초록

    다양한 개념과 혼합매체에 의해 현대미술이 전개되는 동안 회화는 비교적 타자화 되는 경향이 없지 않았으나 오늘의 포스트모던적 미술환경에서 회화는 확실하게 일정 부분의 영역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미 1세기 전에 큐비즘에 의해 존재론적 지위를 박탈당했던 회화의 귀환을 회화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성찰할 때 설득력 있는 논거를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 시대의 회화를 대표하는 회화-사진이 사진과 절충된 속성을 가졌다는 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서로 다른 정체성을 가진 사진과 회화는 도상적 재현의 유사성으로 사진의 등장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서로의 경계를 오가며 다양하게 전개를 한다. 예컨대 회화주의 사진은 사진을 회화화 함으로써 예술로 인정받고자 하지만 사진의 예술화는 존재론적 속성인 ‘사진적인 것’을 통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이 ‘사진적인 것’은 회화와 교접하며 우리 시대에 회화를 풍요롭게 복권시키기도 한다. 이상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작품분석에서는 얀 사우덱(Jan Saudek, 1935-)의 회화주의 사진 「카드」, ‘사진적인 것’을 대표하는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1887-1964)의 사진「로즈 셀라비」,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 1932-)의 회화-사진「엠마(계단을 내려오는 여인)」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동시대 회화의 정체성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는 동시대 회화의 정체성 규명에 새로운 관점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창작 및 감상수준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Although painting tends to be relatively otherized while modern art is developed by various notions and mixed media, it seems that today's post-modern art environment certainly acquired a proportional part of area.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persuasive ground when introspecting return of painting which was deprived of ontological status by cubism 1 century ago, in terms of painting historical context. Thus, the paper aims to develop the argument focusing on that painting-picture which represent our era's painting, have both pictures and economized identity. Picture and painting with different identities develope by crossing each others' boundaries, reaching up to today, after the emergence of pictures, with affinity of reappearance. For example, although pictorial photograph turned painting in that they substitute pictorial desire with pictures, such aim of pictures dismantles through 'The photographic'. But, such 'The photographic' contact with painting and reinstating our era's paintings. With that theoretical background, a study has done a comparative analysis of Yan Saudek's pictorial photography 「Card」, Marcel Duchamp's 'photographic' work 「Rose Selavy」and Gerhard Richter's painting-picture work 「Ema」, The paper tries to argue such a identity of painting-pictu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photograph. Such argument is expected to improve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levels by making it possible to have new perspective on identity clarification of contemporary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