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정경쟁방지법 사건도 관할집중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 (Should the Cases on the Korea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be Subject to the Centralized Jurisdiction System?)

8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1.12
84P 미리보기
부정경쟁방지법 사건도 관할집중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 / 62권 / 4호 / 125 ~ 208페이지
    · 저자명 : 박준석

    초록

    2015년 크게 바뀐 우리 관련 법제에 따라 현재 시행 중인 특허소송 등의 관할집중 제도하에서는,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이 ‘특허권등’에 관한 지재권 사건이 아니라 나머지 지재권 사건에 해당하므로 특허 사건⋅상표법 사건 등과 다르게 고도로 관할을 집중하는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즉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의 1심 단계에서 당사자의 선택에 따라 고등법원이 있는 곳의 지방법원이 경합적인 관할권을 가지게 되었을 뿐이고, 항소심 단계에서는 특허법원이 전국의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을 모두 관할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고등법원들이 여전히 과거처럼 각각 분장하여 관할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 볼 때 부정경쟁방지법 사건도 특허 사건⋅상표법 사건 등과 마찬가지로 고도의 관할집중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글의 문제의식이자 최종결론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의 관할집중 여부를 중심으로 미국⋅일본⋅유럽연합⋅독일, 그리고 중국⋅대만 등 제 외국의 현황을 순차로 최대한 자세하게 고찰해 보았다.
    나아가 그런 비교법적 고찰의 바탕 위에서 과연 한국에서 장차 부정경쟁방지법 사건까지 관할집중의 대상 안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할지 여부에 관해서 1) 관할집중이 곤란하다고 볼만한 근거들, 그에 대비하여 2) 관할집중이 필요한 근거들로 나누어 서로 대조적인 시각에서 차례로 살펴보았다.
    위 1)의 근거들 중에서 가장 현실적인 난관이면서도 누구도 간과하기 어려운 점은 만약 한국이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에 관할집중을 도입한다면 주요 국가들의 일반적인 태도와는 상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서 미국⋅일본⋅유럽연합 등이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을 관할집중에서 분명히 제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약간 사정이 다른 듯한 독일⋅중국 역시 관할집중도가 아주 저조하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통일성이 큰 특허⋅저작권 분야와 달리 부정경쟁방지법 분야에서는 우리만의 선택의 폭이 크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런 인식이 전제될 경우, 충분히 우리만의 독자적 입법이 가능함을 이 부분에서 강조하였다.
    따라서 위 1)의 근거들 중에서 우리 입법자가 진지하게 검토해 볼 만한 근거는, 주요 국가들의 입법 태도와 상충될 수 있다는 점 이외의 나머지 근거들이다. 즉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의 관할집중이 이루어지면 응소의 불편이나 권리자의 남소가 조장될 우려 역시 발생한다는 점, 포럼쇼핑의 우려도 더욱 커진다는 점, 그리고 한국의 지재분쟁 해결절차에 있어서 특정 법원에 국한시키는 고도의 관할집중이 사법의 본질론에 비추어 과연 궁극적으로 타당한 방향인지에 관한 근본적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특히 마지막 근거에 관해서는 개별 논자들의 찬반 입장을 떠나서, 아울러 비단 이 글이 다루는 이슈를 넘어서 한국 지재권 제도 전반을 대상으로 삼아 모두의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
    반면 위 2)와 관련한 근거들을 분석함에 있어서는,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의 관할집중이 이루어지면 먼저 질적 측면에서는 특허전문법관이 공정거래법 사건과 일면 비슷한 부정경쟁방지 사건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지재권 보호 대 공정경쟁 사이의 균형감을 쉽게 얻을 수 있고, 양적인 측면에서도 전문법관으로 성장하기에 충분한 관련사건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특허법원 등 지재전문법원의 심리역량 강화측면에서 양적,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상표법과 일반 부정경쟁행위 법리가 통일적이고 조화롭게 발전할 더 좋은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는 점도 간과될 수 없다. 아울러 기술정보인 영업비밀 관련 사건은, 분쟁해결에 고도의 기술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측면으로 보거나, 혹은 특허법제와의 균형 유지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보거나, 모두 특허 사건과 함께 취급되어야 효율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상표법 사건도 특허 사건처럼 고도의 관할집중 대상으로 인정하고 있는 한국의 특수한 입장이, 궁극적으로 타당한 입장인지는 논외로, 앞으로도 견고하게 지속될 것이라고 전제한다면 부정경쟁방지법 사건도 고도의 관할집중 제도 안에 포섭하는 것이 훨씬 합리적이라고 필자는 결론을 내린다.

    영어초록

    Under the centralized jurisdiction system for patent litigation, etc. currently in effect by our related laws, which have been significantly changed in 2015, a case on the Korea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KUCPA) is not a case related to ‘patent rights, etc.’ in the above related laws but is a case of oth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so it is excluded from the subject of the centralized jurisdiction. In other words, at the first trial stage of the KUCPA case, the district court in the same city as the location of the competent high court only can have competing jurisdiction according to the parties’ choice, and at the appeal stage, the general high courts still have separate jurisdictions as in the past instead of that the Korean Patent Court has the exclusive jurisdiction. However, from several aspects, the problematic issue and final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that the KUCPA case needs to be subject to a high degree of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just like patent case and trademark case.
    At first in this article, the recent situation of several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the European Union, China and Taiwan were examined in as much detail as possible, focusing on whether or not the jurisdiction o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case is centralized.
    Furthermore, on the basis of such comparative legal analysis, as to whether it would be appropriate to include the KUCPA case in the future within the subject of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this article reviewed all the arguments with contradictory perspectives for the above problematic issue one by one, while dividing those arguments into two categories as 1) grounds against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and 2) grounds supporting such centralization.
    Among the grounds in 1) above, one of the most realistic hardships which is difficult to be overlooked before going toward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is that if Korea introduces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in the KUCPA case, it may conflict with the general attitude of major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legal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European Union explicitly exclude suchlike cases from the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while Germany and China, which appear to have slightly different appearance, are also evaluated to have meaningless or very low level of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cognize that we do have a wide range of choices in the field of the KUCPA, unlike the patent and copyright field which is very uniform in the world. In this part of this article, it was emphasized that, if such a perception is premised, our own characteristic independent legislation is fully possible.
    Therefore, among the grounds in 1) above, the grounds that our legislators should seriously consider are other grounds rather than the fact that the above independent legislation may conflict with the legislative attitudes of major countries. In other words, if jurisdiction over the KUCPA case is concentrated, there could be concerns about inconvenience forum for defendants and pouring frivolous lawsuits, concerns about forum shopping will increase, and fundamental doubt about whether higher degree of centralization of jurisdiction where just few specialized courts will control almost all the Korea’s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is ultimately a proper direction in perspective of the unique nature of fair judicial system should be resolved in advance. In particular, regarding the last ground, I think that sincer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by everyone, regardless of the pros and cons of individual commentators, not only to the KUCPA-related issue covered in this article, but also to the overall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On the other hand, in analyzing the grounds related to the above 2), the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in the KUCPA case make, first in the aspect of qualitative improvement, the specialized judges to secure a sense of balance between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fair competition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unfair competition cases similar to the antitrust case while, in the aspect of quantitative improvement, it can also make the IP specialized court such as the Korean Patent Court to strengthen their adaptive capabilities for trial by providing enough relevant cases to bring up more professional judges. In addition,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a better condition will be created for that the trademark law and general unfair competition laws will be more harmoniously developed. In addition, all trade secret cases must be handled together with patent cases to create more effective case handling process because trade secret cases, which are related to technical information, may require a high degree of technical expertise for their dispute resolution and trade secret law demands a sharp balance with the patent law.
    The conclusion in this article is that it is much more reasonable to include all the KUCPA cases in the high degree of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even though the Korea’s peculiar position which recognizes the trademark law case as a very subject of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like the patent case is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s discussion and analysis, assuming that such weird position will be firmly kept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