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것’ 명사절 (‘ges’ Clausal Nominalization in the Korean Language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12
56P 미리보기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것’ 명사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84호 / 33 ~ 88페이지
    · 저자명 : 문숙영

    초록

    본고는 ‘것’ 절은 명사절이며 ‘-은 것’과 ‘-을 것’은 ‘-음’ ‘-기’에 준하는 명사화소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주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것’ 절이 ‘-음, -기’로 대표되는 명사절 자리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오래 전의 일이지만, 아직 명사화소의 하나로 온전히 대접받고 있지는 못하다. 그러나 ‘것’ 절은, ‘것’의 위상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다는 이유로 언급을 미루어둘 수 있는, 그런 비중의 절이 이미 아니다. ‘-음, -기’ 절만으로는 한국어 명사절의 분포를극히 일부분밖에 기술할 수 없고, 보절 동사의 수가 다른 언어에 비해 극히줄어드는 결과도 감당해야 한다.
    본고에서 ‘것’ 명사절을 인정해야 하는 이유로 든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것’ 명사절의 ‘것’은 다른 구문에서의 ‘것’과 명사성 정도가 다르다. ‘것’ 보절의 ‘것’은 지시사의 수식을 받거나 복수표지를 붙이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색하다. 둘째, 보절 명사와 ‘것’ 간의 상호교체가 어려울 때가 많다. 셋째 상호교체가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보절 명사를 쓸 때와 의미화용적인 차이가있다. 넷째, 구어에서는 ‘-음’이 거의 안 쓰이고 ‘-기’는 극히 제한된 용언 앞에서만 쓸 수 있으므로, 나머지 명제 논항 자리에서는 ‘것’ 절이 쓰임을 인정해야 한다. 다섯째, ‘-음, -기’의 자리를 ‘-은 것, -을 것’이 대체한 것이 아니라 이 셋이 동시에 경쟁했음을 보여주는 여러 증거가 있다. 여섯째, ‘것’ 명사절이 독자적으로 분포를 넓혀온 점이 있다. 즉 동사의 의미 변화에 따른 보절동사의 확대나 보절 논항의 증가에 ‘것’ 명사절이 기여한 바가 분명히 있다.
    본고는 명사절과 보절에 대한 언어 유형론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명사절의 특징도 살펴보았다. 전통적으로 명사화는 보절의 한 유형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한국어의 명사절과 유사한 부류로는 최근 티베트-버만어족의 언어에서 부각된 바 있는 ‘절 명사화’가 있다. ‘것’ 명사절의 발달에는 보절명사로 쓰인 ‘것’ 구성이 다리 역할을 했을 수 있는데, 이는 유럽어와는 구별되는 한국어의 내포절 체계의 영향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명사화소의 의미 범주로는 서실법과 서상법을 수용하였다. 언어 유형적으로도 명사화소가이런 서법을 구별하는 언어가 보고된 바가 있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maintain that ‘-eun/eul ges’ is used in nominalization of clauses, like ‘-eum’ and ‘-ki’. Our ‘ges’ clause is not yet recognized as a nominalizer due to the bound noun ‘ges’, even though it has been long used in the place of ‘-eum’ or ‘–ki’.
    We cannot describe the overall distribution of nominalized clauses in Korean, without ‘ges’ clause. The kinds of verbs taking complement-clause are very similar across the world languages. Therefore, it’s not possible to get the whole list of Korean verbs taking complement-clause, if we don’t regard the ‘-eun/eul ges’ clause as one of complement clauses.
    The basis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First, the ‘ges’ of ‘ges’ clauses cannot be modified by demonstratives and plural suffix ‘deul’, while ‘ges’ as a bound noun can take both of them. Second, it is not always possible that ‘ges’ is replaced with other nouns taking complement clauses, and vice versa. Third,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in semantic-pragmatic meaning, even when ‘ges’ is interchangeable with nouns, such as ‘fact, activity, process’ etc. Fourth, the occurrence of ‘-eum’ and ‘-ki’ is very restricted, only in written texts or in front of a few predicates, respectively. Fifth, there are several evidences that ‘ges’ clauses has been used as a kind of clausal nominalization, namely, ‘-eum’, ‘-ki’ and ‘ges’ has competed against one another.
    We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ges’ clause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and argue that Korean is a language making great use of clausal nominalization as a complement strategy. ‘ges’ complement construction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bridging context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nominalizer from a bound noun ‘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