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어의 수동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Le passif du français : perspectives didactiqu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0.11
20P 미리보기
프랑스어의 수동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어문교육 / 35호 / 59 ~ 78페이지
    · 저자명 : 이경수

    초록

    프랑스어의 수동태(le passif)를 가르칠 때 우리는 흔히 능동태(l'actif)로부터 수동태 문장을 어떻게 도출해 내는지, 주로 형식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사실이다. 능동태 문장의 목적어와 주어가 각각 수동태 문장의 주어와 ‘par(혹은 de)+동작주(agent)’ 구문으로 바뀌며, 동사는 ‘être+과거분사’ 형태로 전환된다는 것이 대부분 수동태 교육의 전부였다. 문제는 이와 같은 형식적 측면의 설명들만으로는 실제 담화 상에서 사용되는 수동태의 용법들을 이해하기가 충분치 않다는 데 있다. 우선 다음의 예를 보자.


    1) Un passant a été renversé par un autobus.
    1') Un autobus a renversé un passant.
    위의 1)과 1')의 예들은 앞서 언급한 형식적 기준에 충실한, 형태상으로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는 문장들이다. 하지만 M. Arrivé et al.(1986: 491)이 지적하듯이, 두 문장을 놓고 봤을 때 실제 담화 상에서는 1)의 문장이 더 선호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또 다른 다음의 예를 보자.


    2) Une seule flèche n'a pas atteint la cible. (= Toutes l'ont atteinte, sauf une.)2') La cible n'a pas été atteinte par une seule flèche. (= Aucune ne l'a atteinte.)

    마찬가지로 2)와 2‘)의 문장들도 형식적인 측면에서 능동-수동의 관계에 정확히 일치하는 표현들이다. 그러나 실제로 두 문장은 서로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무엇이 문제인가?게다가 여러 연구에서 지적하듯이 프랑스어에서 수동태로 사용된 문장들의 75% 정도는 아래 3)의 예에서와 같이 이른바 동작주 보어(complément d'agent)가 나타나지 않은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Petiot 2000, Riegel et al. 1994). 이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3) Le prévenu a été condamné (par le tribunal).


    이상의 예들만 보더라도 형태적 측면에만 집중된 수동태 관련 설명들로는 실제 담화 상에 사용되는 수동태를 이해하는 것이 불충분함을 알 수 있다.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형태적 측면의 기술은 담화 차원의 정보 즉, 수동태가 과연 언제, 그리고 왜 능동태보다 더 선호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면서도 한국 학습자들이 프랑스어의 수동태 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설명들은 어떤 것이 되어야 할 것인가? 이와 같이 교육적 차원에서의 수동태 문제를 다루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영어초록

    Le passif s'oppose à l'actif dans la grammaire traditionnelle française, selon laquelle les deux voix se distinguent par la relation oppositionnelle d'activité/passivité de la personne concernée par la sémantèse verbale. Mais ce critère sémantique ne peut s'appliquer à une classe de verbes, celle des verbes d'état, dont le sujet ne peut être réputé agissant(ex. Pierre connaît ton adresse.).
    Confrontés à ce problème, les linguistes ont abordé la question de la voix dans diverses optiques. Dans cette étude, nous avons pris en compte deux points de vue différents : celui de l'approche syntaxique et celui de l'approche sémantique.
    Cependant, mise de côté leur pertinence théorique, il est vrai que les enseignants dans la classe de FLE sont obligés d'enseigner à leurs apprenants comment choisir une bonne forme entre les deux voix. Cette nécessité dite didactique s'est bien révélée dans un exercice grammatical demandant la justification de chaque construction verbale(l'actif et/ou le passif). Ce qui nous a amené à mettre l'accent sur les limites du passif aussi au niveau discursif(logique) qu'au niveau syntaxique comme:i) Sujet animé ⇒ Complément inaniméex) Pierre a ouvert la porte. / *La porte a été ouverte par Pierre.
    ii) Sujet bref(singulier) ⇒ Complément long(pluriel)ex) Le touriste a été étonné par des paysages si variés.
    *Des paysages si variés ont étonné le touris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어문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