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슐라이어마허의‘경건’과 퇴계의 ‘지경’(持敬)에 관한 연구-아는 것과 행하는 것을 넘어서 (A Comparative Study of the Piety of F. Schleiermacher and “Keeping of Piety”(持敬) of Toegye(退溪) - Beyond Knowing and Doi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09
31P 미리보기
슐라이어마허의‘경건’과 퇴계의 ‘지경’(持敬)에 관한 연구-아는 것과 행하는 것을 넘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3호 / 109 ~ 139페이지
    · 저자명 : 허호익

    초록

    슐라이어마허는『종교론』에서 종교인들은 누구보다도 바르고 진실하게 판단하고 바르고 힘차게 실천해야 하는 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경건한 감정을 가져야 한다고 하였다. 이 경건한 감정은 일상적인 감정이 아니라 무한자(우주)에 대한 직관으로서‘하나님에 대한 순수한 의식과 하나님에 대한 절대 의존의 감정’이라 하였다. 이러한 경건한 감정의 신학의 칸트와 헤겔의 종교이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이와 상응하게 퇴계도『성학십도』에서 통치자는 누구보다도 사특함과 게으름이 없어야 하며 하는 것과 행하는 것을 병진(竝進)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성인(聖人)의 경지에 이르러야 하며, 그러기위해서는 경건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경건을 유지하는 것(持敬)은 모든 일을 하늘을 두려워하고 대월상제(對越上帝)하는 것, 즉 하느님대하듯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역시 주자학과 양명학의 대안이었다.
    슐라이어마허와 퇴계는 시대와 문회적 종교적 배경을 달리하였지만,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라는 근원적인 쟁점이 제기된 상황에서 앎과 행위에 선행하며 동근원이 되는 경건이라는 제3의 페러다임을 강조하였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경건은슐라이어마허에게서는‘무한자에 대한 직접적인 의식’에서 비롯되는것이며, 퇴계에게서는 대월상제로서 하늘을 섬기는 것에서 비롯된다고하였다.
    현대신학은 바른교리를 정립하는 정통주의(Orthodoxism)와 바른실천을 지향하는 정행주의(Orthopraxism)로 양극화되어 있다. 따라서 바른 경건을 견지하는 정경주의(正敬主義, Orthopietism)는 이러한 양극화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F. Schleiermacher insist in his famous book On Religion:Speeches to its Cultured Despisers(1879) that true religion is pious feeling, neither knowing nor doing. This pious feeling is not emotional but religious one which is related to “the sense and taste of the infinite”. The synonyms for “feeling” which Schleiermacher uses are “pure consciousness of God” and “absolute dependence on God”.
    Therefore those who have this religious piety be able to think truly and do right way than anyone else. Because this pious feeling not only preceded but also the source of knowing and doing.
    A similar structure can be seen from Seonghaksipdo(聖學十圖,1568) of Toegye(退溪). Toegye also insist that “Keeping of Piety”(持敬) as “Bewaring just as God face to face”(潛心以居對越上帝) not only preceded but also the source of knowing and doing.
    In modern theology, there are polarization between the orthodoxism which focus on true thinking and orthopraxism focus on true doing. Therefore orthopietism which Schleiermacher proposed will be new alternative to overcome this polar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