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이는 것과 읽히는 것, 그 재현의 정치학 — 서태후 관련 거대서사와 개인의 기억 (What Is Seen and What Is Rea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Grand Narrative and Personal Memories Related to Empress Dowager Cixi)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01
28P 미리보기
보이는 것과 읽히는 것, 그 재현의 정치학 — 서태후 관련 거대서사와 개인의 기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어문논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문논역총간 / 54호 / 65 ~ 92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인

    초록

    근대 제국의 질서는 ‘문명 vs 야만’이란 이분법적 틀에서 전 세계의 기준점이 되었고 본국의 유럽인들은 이를 보편적 균질성으로, 이 외에는 이질적 영역으로 식민지들을 상상하고 명명命名하며 재현하였음을 상정한다. 유럽인들의 상상의 영역이긴 하지만 자본과 그들의 개입의 정당성은 새로운 이데올로기 형식들을 찾아내도록 했고 식민지에 대한 문명화 사명, 과학에 근거한 인종주의, 기술에 기반을 둔 진보와 발전의 패러다임 등에 타당성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제국의 질서는 대중매체를 통해 더욱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었고 근대 과학 문명의 대표인 인쇄술(신문, 잡지, 여행기 등)과 사진기(더 나아가 영화) 등은 식민지가 본국에서 상상되며, 재현, 소비될 수 있는 매개체가 되었다.
    서태후는 1900년 초반, 제국주의가 구성하고 재현하던 자신과 중국에 대한 제국의 시선에 반대하며 과감하게 대중들 앞에 섰다. 그녀의 등장은 사실성과 정확성을 담보로 하는 사진이든, 서구적 기법과 중국의 기법을 혼합한 초상화든 상관없이, 구성되고 재현되는 과정에서 보여지고자 하는 의도와 읽고자 하는 의도 사이에서, 역사의 허구성과 역사적 실증성 사이의 간극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그 문화적 기억이 재현하는 생산물 중 공적 거대 서사(제국의 시선)인 서구 매체의 서태후와 관련된 서사(텍스트와 이미지)와 서태후를 개인적으로 경험했던 개인들의 기록인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개인적인 미시 서사로서, 서태후를 가장 측근에서 경험했던 두 여인의 기록, 즉 회고록의 과정에서 이들의 기억(회상)은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허구성과 역사학 사실 간에 가교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동시대인들은 과거의 사건과 시대를 고유의 관점과 목적 하에 다양한 매개체를 통하여 기억한다. 이러한 기억은 ‘허구성’과 ‘문화적 상상력’의 주요한 재료이다. 본 연구는 서태후가 스스로 남긴 사진과 초상화를 통해, 그녀가 의도한 자아의 재현을 통해 보여지고자 했던 의도와 그것이 어떻게 읽혀졌는지를 거대서사와 미시서사의 얽힘을 통해 살피고자 함이다. 보이는 것과 읽히는 것, 관찰된 것과 이야기된 것 사이의 차이 속에서 아리프 딜릭이 제시한 근대성의 목적론에 강제되었던 하나의 역사(대문자 History)에 대항하는 복수의 역사(소문자 history)를 인식할 수 있지 않을까? 본 연구는 이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modern imperial order became a reference point around the world in the dichotomous framework of ‘civilization vs. barbarism’ Therefore, Europeans considered it as the universal homogeneity, and imagined the other world, that is colonies as the heterogeneous areas. Although it is in the realm of European imagination, capital and the legitimacy of their intervention allowed them to discover new ideology and provided validity, such as the mission for the civilization of the colonies, science-based racism, and technology-based paradigms of development. This imperial order was able to gain more universality through the mass media, and printing (newspapers, magazines, travel journals, etc.) and photography (furthermore, movies), representatives of modern scientific civilization, became a medium for the colonies to be imagined, reproduced, and consumed in the empire.
    In the early 1900s, The Empress Dowager Cixi boldly stood before the public, opposing the imperial view of herself and China, which imperialism had composed and represented.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photograph of realism and accuracy or a portrait that combines Western and Chinese techniques, her appearance clearly shows how the gap between the fictionality of history and the historical substantiation and is revealed the intention of what is seen and what is read in the process of being composed and represented. Therefore, as the products reproduced by the cultural memory, this paper intends to study the Western media’s the grand narrative (text and image) related to the Empress Dowager Cixi, and the image and text, which are records of individuals who personally experienced the Empress Dowager Cixi. As a personal micro-narrative, the records of the two women who experienced the Empress Dowager in direct, that is, their memories (recollection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bridge between the fictionality of “public history” and historical facts. In other words, contemporary people remember past events and times through various media under their own perspective and purpose.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her intended self with the photographs and portraits left by the Empress Dowager, through the entanglement of the grand narrative and the micro narrative, and how it was read through the imperial eyes. In the difference between what is seen and is read, observed and talked about, it is assum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recognize multiple histories against a single history (the History) that was forced into the teleology of modernity presented by Arif Dillick.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is pos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문논역총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