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實名小說의 敍事權力과 목소리 復原의 難境 - 『검은 땅에 빛나는』과 『코레예바의 눈물』의 경우 - (The Narrative Authority and Predicament of Voice Restoration in Model Novel)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實名小說의 敍事權力과 목소리 復原의 難境 - 『검은 땅에 빛나는』과 『코레예바의 눈물』의 경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6권 / 2호 / 293 ~ 318페이지
    · 저자명 : 임정연

    초록

    본고는 崔英淑과 朱世竹을 모델로 한 實名小說 『검은 땅에 빛나는』과 『코레예바의 눈물』을 대상으로 虛構가 어떻게 擬似事實로 기능하고 正典으로 작용해 敍事權力을 행사하는지 주목했다. 留學과 戀愛 경험을 중심에 놓고 崔英淑의 一代記를 따라가는 『검은 땅에 빛나는』은 崔英淑에 관한 기록들을 取捨選擇하는 과정에서 主體的인 목소리를 일부 漏落시킴으로써 그녀를 失敗한 新女性으로 固着시켰다. 朱世竹의 부족한 기록들을 멜로드라마적 企劃과 감정의 과잉으로 채우고자 한 『코레예바의 눈물』은 사랑과 혁명이라는 소재를 浪漫的으로 변주해 悲劇的 파토스를 派生시키고자 하는 目標感性이 서사를 壓倒함으로써 朱世竹과 그녀의 삶을 남성의 판타지로 再誕生시켰다. 작가의 정서가 善意와 哀悼에 바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은 男性 作家와 女性 話者가 拮抗하고 談論과 敍事가 乖離를 일으키며 近代와 脫近代의 시점이 衝突하는 矛盾 가운데 여성 인물에 대한 재현이 ‘缺乏’과 ‘過剩’이라는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樣相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narrative attitude of a male authors in the 21st century who reproduce and restore the voices of modern ‘New Women’. The texts are geomeun ttange bitnaneun and koleyebaui nunmul, the novels modeled Choi Young-sook and Ju Se-juk respectively. Both novels take the form of a self-narrative. This article seeks to capture the narrative power of translating the voices of the New Testament in two directions of 'deficiency' and 'surplus'.
    geomeun ttange bitnaneun reconstructed the biography of Choi Young Sook by replacing her experience of study abroad and love as a central event. However the author deleted Choi's real voice and eventually made a "failed" new woman in the process of choosing records about her koleyebaui nunmul aimed to derive the tragic Pathos from Ju Se-juk’ life by romantically conjugating the material of love and revolution. The author tried to fill in scarce records with melodramatic and emotional excess. As a result her story was reborn as a male’s fantasy.
    Therefore Contradiction arises in the male writer between the female narrator, narrative between discourse and viewpoints of modernity collide with postmodernism despite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love and mourning for the characters. This is the result of the lack of gender sensitivity rather than because of impure intention of both auth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