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문학과지성』의 공간과 아우라 - 『우리 세대의 문학』에서 『입 속의 검은 잎』까지 (Space and Aura of Literature and Intellect in the 1980s - From “Literature in Our Generation” to “A Black Leaf in Mouth”)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1.08
26P 미리보기
1980년대『문학과지성』의 공간과 아우라 - 『우리 세대의 문학』에서 『입 속의 검은 잎』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8호 / 85 ~ 110페이지
    · 저자명 : 최민지

    초록

    본고는 다수의 무크지가 출현한 1980년대 문학 장에서 『문학과지성』의 문학적 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70년대 후반무렵 대두된 민중문학론은 해당 시기 ‘새로운 문학 주체’의 등장이라는 문학적 귀결을가져왔지만, 이후 발전적으로 흡수되지 못한 채 소멸의 형태를 보였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라 할 수 있다. 즉, 80년대와 90년대에 가로놓이는 ‘단절론’을 발생시키며 해당 연구를저어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 셈이다. 따라서 앞선 시기를 양분한 『문학과지성』이 강제폐간을 경험하면서도 『문학과사회』 창간까지 나아갈 수 있었던 지점을 파악하는 것으로, 1980년대를 연대기적 시선으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해당 시기 『문학과지성』은 시대적 요구에 따른 문학적 대응을 보여줄 수 있는 지면을상실했지만, 『우리 세대의 문학』 혹은 『우리 시대의 문학』으로 그 맥을 이어나간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문학 담론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평 영역을 다음 세대와 양분하거나, 평론에 한정되었던 편집진을 다양한 장르로 확대하였으며, 대립 구도에 놓여있던 상대 진영까지 포함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출판에서는 대표적으로 기형도의 『입 속의 검은 잎』으로, 80년대의 특수성을 90년대의 보편성으로 연결지으며, 연계적 작업에 대한 단서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에 본고는 해당 시기 『문학과지성』의 문학적 대응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우리 세대의 문학』 혹은 『우리 시대의 문학』과 기형도의 『입 속의 검은 잎』 분석을 통해 『문학과지성』이 『문학과사회』로 나아갈 수 있었던 원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1980년대의 ‘단절론’을 극복할 수 있는 연대기적 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literary response aspects of “Literature and Intellect” in the literature 1980s, when a number of mooks emerged. The popular literature theory, which emerged around the late 70s, brought about the literary conclusion of the emergence of a “main agent of new literary” at that time, but it was later problematic in that it showed a form of extinction without being absorbed developmentally. In other words, it creates a “theory of discontinuity” that lies across in the 80s and 90s, causing the research of the period to be awkwar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ovement of <literature and intellect>, which were divided into the “periods of the two major quarterly magazine”, to the foundation of its developmental form, “Literature and Society”, and to approach the 1980s with a chronological perspective.
    At that time, <Literature and intellect> lost its place to show literary responses to the demands of the times, but continued its movement to develop into <Literature in Our Generation> or <Literature in Our Time>. In this process, <Literature and Intellect> divided the areas of criticism that could directly affect literary discourse into the next generation or expanded the editorial staff, which was limited to reviews, to various genres. It also showed movements, including the opposing camp, which had been in the confrontation. Also, in terms of publication, the representative example is “A Black Leaf in Mouth” of Ki Hyung do. This book connects the specificity of the 80s to the universality of the 90s and shows clues about the linkage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