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울어진 문학장, 국어 교육과 극문학 -중학교 검인정 국어 교과서 14종을 중심으로- (The Inclined Literature Fiel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rama Literature -Focusing on 14 Kinds of Authorized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Middle School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02
26P 미리보기
기울어진 문학장, 국어 교육과 극문학 -중학교 검인정 국어 교과서 14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8호 / 257 ~ 282페이지
    · 저자명 : 박노현

    초록

    문학 장르는 통상 시․소설․드라마로 삼분된다. 이러한 장르에 대한 인식은 공적 교육과 사적 독서를 통해 형성되게 마련이다. 하지만 유달리 교육열이 높은 한국 사회에서는 공적 교육이 사적 독서를 압도한다. 그렇기에 한국인의 문학에 대한 취미판단의 형성에서 학교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은 가히 절대적이다. 이 글은 이러한 맥락에서 시와 소설 중심의 견고한 문학장을 재생산하는 한 축으로서 학교 국어 교육을 다룬다. 시․소설에 대한 편중과 드라마에 대한 편파 등의 장르 인식이 국어 교육을 통해 자연스럽게 수용되는 양상을 일별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2017년 현재 일선 중학교에서 쓰이고 있는 검인정 국어 교과서 14종에 대한 극문학 분포를 살핀다. 이로써 드라마로 수렴되는 희곡․시나리오․방송극 대본 등을 텍스트로 하는 극문학 교육이 얼마나/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총14종의 중학교 검인정 국어 교과서를 전수 조사한 결과, 문학 교육에서 극문학을 둘러싼 종전의 편중과 편파는 가시적 극복과 암묵적 답습으로 요약된다. 가시적 극복이란 본문과 보충자료 등을 망라해 교과서 전체에 수록된 극문학 작품과 유관 자료의 총량이 증가했음을 의미하고, 암묵적 답습이란 시․소설 편중과 드라마에 대한 편파가 두드러졌던 국정 교과서와 대비해 거의 변함이 없음을 뜻한다. 이를 출판사와 장르와 학년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① 출판사, 즉 집필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평균치에서는 국정 교과서 시기와 거의 같은 비중으로 극문학이 수록되었고, ② 연극, 즉 희곡 중심의 수록이 주를 이루었던 과거에 비해 영화(시나리오)와 방송극(대본)의 강세와 둘 사이의 호각세가 확연히 드러났으며, ③ 수록된 작품 및 유관 자료의 학년군 혹은 학기별 분포는 비교적 고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를 종합하자면 아직까지도 (중)학교 문학 교육에서 장르에 따른 편중과 편파는 크게 개선되지 못 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Commonly, literature genre is classified into three parts; poetry, novels and dramas.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reading contribute to creating the recognition of this genre. But in Korea with a particularly high enthusiasm for education, public education overpowers private reading. That is why school education occupies an absolute proportion of establishment of judgment of taste in literature for Korean people.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handles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axis to recreate the poetry and novel-based strong literature field. It i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genre, such as a bias towards poetry and novels, or a prejudice against dramas that is naturally accepted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drama literature in 14 kinds of authorized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general middle schools, which have been used until now since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in order to empirically verify how much and how drama literature education using texts, including plays, scenarios and broadcast play scripts has been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omplete enumeration on total 14 kinds of authorized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middle schools, the existing bias towards and prejudice against drama literature in literature education can be condensed into visible overcoming and implicit following. Visible overcoming means that drama literature works and related materials, including main texts and supplementary materials have increased in all the textbooks, and implicit following means that compared to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that are remarkably biased towards poetry and novels and prejudiced against dramas, the present textbooks have hardly changed.
    When it comes to publishers, genre and grades, first, averagely, the proportion of drama literature contained in the present textbooks is almost the same as it contained in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although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depending on publishers, that is, the writing staff. Second, the proportion of movies(scenarios) and broadcasting plays(scripts) has increased, or the proportion between the two is pretty even, while the textbooks of the past were mainly focused on plays. Third, the distribution of works or related materials included in the textbooks was relatively even by grade or by semester.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genre-related bias and prejudice in (middle) school literature education have not highly been improved, y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