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여성과 깁슨걸의 비교 분석 (Comparison between the New Woman and Gibson Gir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6.03
45P 미리보기
신여성과 깁슨걸의 비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사론 / 128호 / 210 ~ 254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본 논문은 19세기 후반에 동시적으로 등장한 신여성과 깁슨걸을 비교 분석하였다. 19세기 후반에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여성이 등장하게 된 것은 시대적 배경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19세기 후반은 독점 자본주의 체제가 출현하고, 정치적 부패가 심화된 시기로 이에 대한 대응으로 혁신주의적 개혁운동이 시작된 시기였다. 이러한 개혁적 분위기에 발맞추어 다양한 여성 조직이 만들어지고, 이러한 조직 활동을 통해 여성들이 공적 영역으로 발을 내딛기 시작하였으며, 여성들의 컬리지 교육이 시작되면서 상당수의 여성들이 새로운 직업을 갖게 된 시기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독립적이며 고등교육을 받았고, 운동을 즐기고,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혁신적이며, 경제적으로 자율성을 추구하는 신여성이 등장하였다. 이들은 전 세대의 여성들과 달리 결혼보다는 전문직에 취업하고자 투쟁하였으며 새로운 역할을 개척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신여성의 등장과 때를 같이 하여 등장한 것이 바로 깁슨걸이다. 깁슨걸은 찰스 다나 깁슨의 펜과 잉크로 만들어진 만화의 인물로 1894년 잡지의 표지에 등장한 이래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이후부터 1차대전까지 깁슨걸은 여성의 아름다움의 표준이 되었다. 당시의 페미니스트들은 깁슨걸을 신여성의 전형으로 보았는데, 블라우스와 스커트를 캐주얼하게 입고 스포츠를 하는 모습이 활동적이고 적극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비쳐졌기 때문이다. 페미니스트들의 이러한 오해로 인해 이후 깁슨걸은 신여성을 대변하고 있고 신여성의 표상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여성과 깁슨걸의 모습을 분석하여 신여성이 깁슨걸과 동일시 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신여성의 경우 우선 참정권 운동가로서의 모습을 연구하고, 신여성과 가장 직접적으로 동일시되는 컬리지 여학생의 모습, 그리고 이들 신여성들이 활동한 클럽 활동 중 여성 기독교 금주연합과 인보관에서의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신여성의 삶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한편 깁슨걸의 경우 깁슨이 그린 다양한 깁슨걸의 모습, 무도회, 오페라나 매디슨 스퀘어 가든 말쇼에 등장하는 깁슨걸, 운동을 즐기는 깁슨걸, 공적 영역에서 활동하는 깁슨걸, 남녀관계에서 주도권을 장악하는 깁슨걸의 모습, 소비주의의 표상으로서의 깁슨걸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두 유형의 여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깁슨걸은 신여성의 다양한 층위를 제시해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신여성의 실상과 는 동떨어진 모습이 오히려 더 많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깁슨걸은 신여성으로 통칭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깁슨이 그린 신여성은 자신의 지극히 주관적이고 편파적인 시각이 투영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왜곡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first generation of New Woman and Gibson Girl, both appeared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appearance of these new style women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periodic background.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Progressive movement appeared to prevent prevailing monopoly capitalism and political corruption. In this Progressive era women entered the public sphere through women’s organizations which were formed, entered college and workforce, including new professions in significant numbers.
    In this transitional period New Woman, white, independent, educated, athletic, politically and socially progressive, pursuing financial autonomy made an appearance. Refusing to accept True womanhood she fought to engage in professional work instead of marriage, pioneering new role and demanding justified position in a decent world.
    Simultaneously with the appearance of New Woman Gibson girl made her entrance. The Gibson Girl image appeared for the first time on the cover in an 1890 issue of Life. She was the creation of artist Charles Dana Gibson with his pen-and-ink. Since her first appearance in 1890 she became a national sensation by 1894, and came to dominate standards of beauty in women, which lasted until the World War I. Contemporary feminists considered Gibson girl as a protype of New Woman because her active and affirmative posture and her engagement in athletic activity wearing blouse and skirt casually seemed to resemble New Woman. For this reason Gibson girl was recognized as representing and symbolizing New Woman.
    In order to clarify this misunderstanding and to examine its reason this article analyzes New Woman and Gibson girl in depth. To understand New Woman her activities and life as a suffragist, a college girl, a professional worker, and a progressive reformer working in women’s clubs, focusing on Woman’s Christian Temperance Union and Hull House were examined. As for Gibson girl various types of Gibson girl such as appearing at balls, the opera, or the Madison Square Garden Horse Show and engaging at bicycling, golfing, playing tennis, and swimming, and also appearing at public sphere and dominating the mating game or posing as college girls and jurors and being presented as a greedy consumer.
    As a result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Gibson girl does not contain various types of New Woman. She never works either in settlement house or in any workshops and rarely appears as a college girl. When Gibson does draw her either a feminist or politically oriented girl he intends to undermine her noble goal. The reason Gibson distorted New Woman in his Gibson Girl is because he wanted to alleviate fears that New Woman might provoke. He also wanted to warn the society that the American Girl, at once demanding and capricious, controls the market in men and consumer goods. Nevertheless, these Gibson’s images influenced a lot on contemporary women to motivate to achieve individual independence and self esteem, and even sexual free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사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