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류건휴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영남학파의 양명학 비판 (Criticism against Yangming Studies of Yeungnam School which referred to Ryu, Geon-Hyu’s Commentary of Different Science Collection(異學集辯))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09.12
31P 미리보기
류건휴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영남학파의 양명학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24호 / 313 ~ 343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초록

    이 논문은 류건휴의 『이학집변』에 나타난 양명학 비판을 중심으로, 후기 영남학인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입장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류건휴는 퇴계학파 내의 적통시비인 병호시비가 한참 뜨겁게 진행될 때의 인물로, 19세기 위정척사운동과 영남만인소 운동, 의병운동 등으로 대변되는 영남의 정재학파 형성에 중요한 이론적 기여를 했던 인물이다. 그의 『이학집변』은 이 같은 측면에서 특히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 류건휴의 『이학집변』이 어떠한 책인지를 살펴보고, 그 가운데 양명학 비판이 어떠한 목차와 내용으로 집필되고 있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나아가 양명학의 중심 이론에 대한 비판관점과 양명학의 주자학 비판에 대한 역비판을 중심으로 당시 영남학인들의 양명학 비판 관점을 살피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이학집변』에 나타난 양명학 비판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첫째는 양명학을 ‘선학’으로 바라보는 기본 입장이 유지된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이황 이후 한국 주자학자들의 일반적 입장으로, 『이학집변』을 통해서는 이것이 좀 더 강한 논리적 근거들을 통해 보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는 ‘선한 본성’이라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는 양명학의 ‘양지’에 대해 ‘확충이 필요한 개념’이라는 데 무게 중심을 두고 양지를 해석함으로써, 양명학을 ‘선학’으로 규정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맹자가 말한 ‘양지’에 대해 주자학적인 이론 구조 속에서 해석한 내용을 중심으로, 양명학의 이론을 정면 반박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는 진건의 『학부통변』에 근거한 비판이 양명학의 비판의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양명학에 대한 영남학파 나름의 세밀한 논리적 비판점을 찾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이 같은 내용을 통해 후기 영남학파의 양명학 비판에 대한 기조와 입장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통과 벽이단을 특히 강조했던 정재학인들의 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dentify critical point of view and standpoint about Yangming Studies of late Yeungnam School, focused on Criticism against Yangming Studies which referred to Ryu, Geon-Hyu’s Commentary of Different Science Collection(異學集辯). Ryu, Geon-Hyu is the person of time that Byungho Dispute which is the main line of descent Dispute(嫡統是非) in Toegye School is progressed, and he is the person that contributed to form Jeongjae School of Yeungnam theoretically, the school is spoken for 19C Wijeongcheoksa(衛政斥邪) activities and Maninso activities, The Volunteer Corps Movement. His Commentary of Different Science Collection is having important feature in this aspect. This essay investigates what Ryu, Geon-Hyu’s Commentary of Different Science Collection is book, and describes what criticism against Yangming studies is written a table of content and contents. Going step forward, in this essay I investigate viewpoints of criticism against Yangming studies of Yeungnam scholars, focused on viewpoints of criticism about core theory of Yangming studies and refutation about criticism against Zhuxi Studies of Yangming Studies.
    By doing so, in this essay I arrange features of criticism against Yangming Studies which is mentioned to Commentary of Different Science Collection; firstly, basic standpoint which sees Yangming Studies as ‘Zen(禪學)’ is maintained. This is a general standpoint of Korean Zhuxi scholars after Lee Hwang, we can identify point that the standpoint is replenished with logical grounds through Commentary of Different Science Collection. Second feature is point that secure grounds which can define Yangming Studies as ‘Zen’, as interpreting that Innate Good Mind(良知) of Yangming Studies which emphasizes aspect of ‘good nature’ is ‘a notion which expansion needs’. This is to refute theory of Yangming Studies about Innate Good Mind, focused on contents which interpret in structure of Zhuxi Studies. Third feature is a fact that we can see it that Yeungnam School’s proper refutation of Yangming Studies can’t be found, through criticism based on Chen Jian’s HakBuTongBeun(學蔀通辨) mainstreams in criticism about Yangming Studies. However, we can identity how keynote and standpoints of Yangming Studies of late Yeungnam School is formed, and we can examine viewpoint of scholars of Jeongjae School which emphasized Dao-tong 道統(orthodoxy) and opposition of heterodoxy(闢異端)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