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건국기 성리학자의 불교 인식 (Neo-Confucians’ Perception of Buddhism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5.08
33P 미리보기
조선 건국기 성리학자의 불교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50호 / 33 ~ 65페이지
    · 저자명 : 도현철

    초록

    여말선초 성리학과 불교의 상호 인식을 통하여 한국중세 종교 사상의 정치사회적 기능과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려는 것이 본고의 과제였다.
    고려말 성리학을 수용한 유학자들은 불교와 유교의 이치와 지향이 같다는 유불동도론을 전개했다. 그리고 삼교일리론를 통하여 유불도 삼교가 마음에 근원을 두고 있다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이색은 불교적 효행이나 유교적 효행 모두 효행(孝行)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고 보았다. 기화(己和)는 승려의 출가가 효의 상도에는 어긋나는 것일지 모르나 오히려 권도를 취해 극진한 효를 수행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유교와 불교의 윤리 기능은 평화롭고 행복한 인간의 삶을 지향하여, 마음의 안정과 이를 통한 가족, 사회, 국가의 안정 도모를 기약할 수 있다.
    한편 성리학에 충실한 정도전 등은 유학을 정통, 정학으로 보고 불교를 이단을 정학에 대한 이단으로 보았고, 유교의 삼강오륜이 지배하는 사회를 만들고자 하였다.
    조선건국후 성리학을 국시로 정해지자 불교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이어졌다.
    하지만, 조선은 재편된 지배질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불교적 요소는 용인하였고 오히려 활용하였다. 태조는 승려를 왕사와 국사를 임명하였고, 내불당을 두었다. 왕실에서는 사후(死後) 명복(冥福)의 기원이나 천변지개(天變地災), 질병(疾病) 등 인간적 재난을 소재(消災)하려는 불교식 기복적 의례가 행해졌다. 언문 불교 경전도 간행되었고, 승려를 부역 노동에 동원하였다.
    성리학의 불교비판은 왕조 창업자 입장에서 체제이념 혹은 정치사상으로서의 견해이며, 일반 사대부의 의식이나 민간에서 심지어 왕실에서는 여전히 불교와 도교‧민간 신앙이 지배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억불의 대상이 된 불교는 엘리트 불교에 한정된 것이고, 서민적인 불교는 민간신앙으로 기층사회에 남아 그 명맥을 유지되었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mutual perception exchanged by Neo-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believers in the ending days of Goryeo and early days of Joseon, in order to determine the historical meaning and significance of medieval religions and philosophies which did play a political and social role as well.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ending days of Goryeo who embraced Neo-Confucianism supported the notion that the logic and goal of both Buddhism and Confucianism was virtually the same. They also argued that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ll had their bases in the human heart, based upon the notion of “Three School of Thoughts(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sharing the same logic.” Yi Saek uttered that a Buddhist act of filial piety and a Confucian act of filial piety were exactly the same. Gi’hwa(己和) argued that although a Buddhist priest leaving the secular world may seemingly contradict an individual’s obligation to observe filial piety, but in a way it was also an act of demonstrating sincere respect for the parents. The moral values of both Confucianism and Buddhism were considered as methods that would ensure a happy and peaceful life, as well as a well-soothed mind that would contribute to the safety of not only the family but society and state.
    In the meantime, Jeong Do-jeon and others who were more faithful to Neo-Confucianism considered Confucianism as the orthodox form of thought, and perceived Buddhism as heretical. They wanted to create a society that would operate on a Confucian devotion determined to prioritize the so-called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三綱五倫).” And when Joseon was finally founded and Neo-Confucianism was fixed as the leading ideology, critical perception of Buddhism only continued to deepen.
    Yet Joseon did tolerate Buddhist elements within the Korean tradition which were deemed necessary in maintaining a ruling structure for the dynasty. Founder king Taejo appointed renowned Buddhist priests as State and Royal Masters, and had a Buddhist Shrine(Naebul-dang) inside the palace. The Royal family members regularly observed Buddhist rituals, to mourn for the dead or repel natural disasters or even evade sickness and despair. Buddhist classical texts were published in Korean letters, while Buddhist priests were drafted in social labor services.
    Neo-Confucian scholars’ criticism of Buddhism was a political one needed to create and rule a country. Ordinary scholar-officials and civilians and even the Royal family members maintained their faith in Buddhism, Taoism and other folklore beliefs to a certain degree. Elite Buddhism in the past was the portion of Joseon Buddhism that was oppressed, and common Buddhism remained within in the society and lives of individ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