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괘전」에 비추어 본 교육의 과정 -건(乾)⋅곤괘(坤卦)에서 태괘(泰卦)까지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Education in the Light of Xugua zhuan, the Sequence of the Hexagrams in I Ch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08
34P 미리보기
「서괘전」에 비추어 본 교육의 과정 -건(乾)⋅곤괘(坤卦)에서 태괘(泰卦)까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58호 / 245 ~ 278페이지
    · 저자명 : 김정래

    초록

    이 논문은 『주역』의 십익(十翼) 중 하나인 「서괘전」의 내용이 곧 교육의 과정을 뜻함을 논한다. 특히 건괘(乾卦)에서 11번째 괘인 태괘(泰卦)에 이르는 「서괘전」의 내용은 사람이 태어나서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최소한 여력을 갖추는 일련의 과정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 내용을 기존 교육학에서 소개된 교육의 과정 틀 속에서 분석하고 논의한다. 교육목적이 어떻게 진술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교육받는 아동의 이익을 도모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취지는 서양의 소위 아동중심교육, 진보교육 사상에 의하여 크게 왜곡되었다. 한 마디로 ‘교육’이 아닌 ‘아육(兒育)’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 논문에서 분석한 「서괘전」 내용은 이러한 왜곡을 시정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논거를 제공한다. 「서괘전」은 이 점에서 실추되어 가는 교권 문제 회복을 위한 논거도 제공한다. 또한 소축괘(小畜卦)와 리괘(履卦)는 교육재정 분배와 복지문제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끝으로 「서괘전」이 현행 교육체제와 운영이 효용위주로 흐르는 것을 경계하고 교육의 본질을 생각하게 한다는 점에서 「서괘전」은 우리가 받들어 공부해야 할 경전임을 일깨워준다.

    영어초록

    The paper has focused on examining the sense of educational process in the light of Xugua zhuan[序卦傳], the Sequence of the Hexagrams as one among Ten Wings in I Ching, particularly on the 11 Iching-hexagrams from ch’ien[乾] to t’ai[泰]. The process involved in this part of the Book of Change can be recognized as both the micro and macro levels, which can eventually leads us to construct the circular system of thought[環相型]. This gives us a possibility to consider the values of education beyond the dualism such as intrinsic and extrinsic as well as traditional and progressive ones. Particularly some crucial defects from child-centered education have been critically examined so that the concept of education can be taken seriously in the light of the teacher-side. Thus this provides us a necessity to dub ‘education’ as ‘敎育’, not as ‘兒育’ in the Oriental context. As shown in the paper, the cosmic dual forces of I Ching also enables us to dissolve some conflicts arisen in the educational welfare system and situations, and then shows us why we should respect for the teachers’ stances though we have to consider the interests of children to be educated. Thus we need to re-examine the content of the Book in the link with the Western systems of educational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