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을 이용한 슬로건 패션 특성 분석 - 2017년 S/S, F/W 컬렉션의 슬로건 패션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logan Fashion Utilising Roland Barthes’ Semiotics - Focused on Slogan Fashion in 2017 S/S, F/W Collections -)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8.04
18P 미리보기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을 이용한 슬로건 패션 특성 분석 - 2017년 S/S, F/W 컬렉션의 슬로건 패션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8권 / 1호 / 19 ~ 36페이지
    · 저자명 : 김혜은

    초록

    본 연구는 2017년 유행 아이템인 슬로건 패션을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패션의 다양한 층위 구조를 이해해 슬로건 패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호학은 언어학의 하나인 기호를 객관적 경험과 사용자의 주관적 경험을 통해 의미작용을 분석해 비언어적 문화 현상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학문으로 이를 기초로 문자가 포함된 하나의 이미지로서 슬로건 패션의 언어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슬로건 패션에 대한 선행연구와 2017년 슬로건 패션의 사례 분석을 기초로 1차 의미작용은 컬렉션을 감상함으로 알 수 있는 객관적 경험인 슬로건, 의상, 모델, 스타일링, 컬렉션 내 다른 의상, 2차 의미작용으로 수용자에 따라 다른 경험으로 컬렉션 외에 사전지식, 조사로 알 수 있는 디자이너 주관, 사회,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17년 슬로건 패션 유행을 분석한 결과, 의사 표현의 도구로 사용되는 표현성, 의사로 표현되어 착장자, 대중과 소통하는 소통성, 정치, 사회, 문화, 과학 등 시대의 변화 현상을 보여주는 시대반영성, 또한 의사 표현과 소통을 통해 대중들의 계몽의 의지를 전달하는 계몽성의 네 가지 특징을 알 수 있었고, 이 특징이 복합적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호학적인 분석을 통해 패션이라는 계층 구조를 가진 멀티 메시지를 구조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고, 특히 컬렉션을 통해 알 수 있었던 1차 의미작용에 2차 의미작용인 함축의미가 중요한 영향을 미쳐 디자이너의 의도를 파악해 슬로건 패션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호학을 통해 의상 창작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 볼 수 있어, 슬로건 패션에 대해 심도 있는 이해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더 나아가 패션의 여러 현상을 파악하는데 있어 언어학에 기초한 기호학 분석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nalyzes slogan fashion in 2017, when in vogue, from the perspective of Roland Barthes’ semiotics,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is fashion trend through studying a number of structured fashion systems. Semiotics, originally an area of linguistics, is applied to fashion and slogan as linguistic functions. Semiotics studies the meaning of signs through objective and subjective experiences and enables us to research non-linguistic cultural phenomena such as film or clothing. The primary meaning considers the slogan phrase itself, its font and colours, collection and the secondary relates to the designer’s subjectiv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Based on previous case studies, an analysis of slogan fashion in 2017 can be focused on: 1) expression, as the speaking out of opinions or emotions; 2) communication among designer, wearers and viewers; 3) a reflection on the Zeitgeist, highlighting changes in politics, society, culture, science, etc.; 4) enlightenment, as education or lessons carried out by transferring opinions and communication. Further, these characteristics are used in a complex manner. A semiotic analysis helps to understand the multi-messages of a structured fashion system. In particular, designers choose wearers (models) and do styling for fashion shows: this information helps to understand the connotative meaning of a slogan fashion as a useful tool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designers. This study gives a chance to systematically check the multiple reasons of fashion and enables us to understand slogan fashion in dep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