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내반 슬관절 환자의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인대 균형 시 천부 내측측부인대의 골막하 거상술 및 다발 자침 천공술의 비교 (Comparison of Subperiosteal Elevation and Multiple Needle Puncturing of Superficial Medial Collateral Ligament during Ligament Balancing in Total Knee Arthroplasty of Varus Knee)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4.12
7P 미리보기
내반 슬관절 환자의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인대 균형 시 천부 내측측부인대의 골막하 거상술 및 다발 자침 천공술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정형외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59권 / 6호 / 415 ~ 421페이지
    · 저자명 : 이기원, 최영준, 배주열, 조성윤, 안태환

    초록

    목적: 내반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내측 연부조직의 이완은 적절한 균형을 얻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천부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에서의 골막하 거상술과 다발 자침 천공술을 비교하여, 다발 자침 천공술의 유용성 및 안전성을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4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내반 슬관절로 양측에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및 천부 내측측부인대 이완술을 시행받은 환자들 중 한 쪽은 골막하 거상술, 반대쪽은 다발 자침 천공술을 시행받은 1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골막하 거상술에서는 곡선형 절골기를 이용하여 경골 근위부에서 천부 내측측부인대 전방부에 거상술을 시행하였고, 다발 자침천공술에서 18 Gauge 척추 바늘을 이용하여 천부 내측측부인대의 천공을 시행하였다. 후속 굴곡, 굴곡 구축, 관절가동범위를 포함하는 임상 결과와 미국슬관절학회(Knee Society, KS)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고, 천부 내측측부인대의 과도한 이완을 포함하는수술 관련 합병증을 평가하였다.
    결과: 골막하 거상술군과 다발 자침 천공술군에서 술 전 변형(내반 4.22° vs. 3.76°), 미국슬관절학회 점수(31.05 vs. 31.78), 후속굴곡(125.86° vs. 126.48°), 굴곡 구축(6.09° vs. 5.69°) 및 관절운동범위(119.77° vs. 120.79°)는 차이가 없었다. 술 후 1년째 추시에서, 두 군 간의 미국슬관절학회 점수(93.01 vs. 92.64), 후속 굴곡(134.24° vs. 134.64°), 굴곡 구축(0.36° vs. 0.49°) 및 관절운동범위(133.88° vs. 134.14°)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662, 0.749, 0.493, 0.835), 수술 후 통증 호소정도(58명 vs. 66명) 및미국슬관절학회 통증 점수(43.31 vs. 43.04)에 대해서 두 군 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473, 0.745). 골막하 거상술군에서는 5예에서 과도한 이완이 발생하여 다발 자침 천공술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p=0.024), 추적관찰상 내측 불안정성으로 진행하지는 않았다.
    결론: 다발 자침 천공술은 통제 가능한 이완이 가능하며 기존의 골막하 거상술을 이용한 수술 방법과 더불어 성공적인 인대 균형을 위한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Purpose: Medial soft tissue release in knee varus deformities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s necessary for adequate gap balancing.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of subperiosteal elevation (SE) and multiple needle puncturing (MNP) for superficial medial collateral ligament (sMCL) release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MNP.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152 patients who underwent both TKA and sMCL release for degenerative osteoarthritis with varus alignment; one knee from each patient underwent SE and the other underwent MNP between April 2018 and April 2020. In SE, subperiosteal release was performed on the proximal tibia of the anterior portion of the sMCL using a curved osteotome. For MNP, an 18-gauge needle was used to puncture the sMCL. The clinical outcomes, including knee further flexion (FF), flexion contracture (FC), range of motion (ROM) and Knee Society (KS) scores, were compared. Surgical complications, including sMCL overrelease, were also evaluated.
    Results: For the SE and MNP groups, the preoperative KS scores (31.05 vs. 31.78), knee alignment (varus angle, 4.22° vs. 3.76°), FF (125.86° vs. 126.48°), FC (6.09° vs. 5.69°) and ROM (119.77° vs. 120.79°) did not differ preoperatively. At one-year follow-up, postoperative KS scores, FF, FC and ROM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93.01 vs. 92.64 points; 134.24° vs. 134.64°; 0.36° vs. 0.49°; 133.88° vs. 134.14°; p=0.662, 0.749, 0.493 and 0.835 respectively),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ostoperative pain and KS pain score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66 vs. 58 patients and 43.31 vs. 43.04 points; p=0.473 and 0.745, respectively). In the SE group, five cases showed intraoperative over-release of the sMCL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MNP group (p=0.024) but showed no medial instability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SE technique, MN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nical outcomes and fewer complications, such as over-release of the sMCL, and could be a safer alternative to achieve a balanced TK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정형외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