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의적 원자력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정책이해관계자의 심리적 거버넌스 변화에 관한 현장실험연구: 원자력 지식보정(knowledge calibration)을 중심으로 (Deliberative nuclear energy communication activity and the role of knowledge calibration in policy stakeholder groups’ psychological governance: A field experimen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7.03
30P 미리보기
숙의적 원자력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정책이해관계자의 심리적 거버넌스 변화에 관한 현장실험연구: 원자력 지식보정(knowledge calibration)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행정학보 / 51권 / 1호 / 233 ~ 262페이지
    · 저자명 : 이태준

    초록

    본 연구는 원자력 거버넌스의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해 제도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숙의적(deliberative) 원자력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효과와 참여자 개인의 심리적 거버넌스 과정을 분석하고자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단일집단 사후측정설계 방식으로 참여, 협력, 소통, 관계 중심의 숙의적 원자력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참여자의 성찰수준, 의견조정, 의견공고화,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효과와 설득과정을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숙의적 원자력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따른 행위자의 거버넌스 효과(이견 노출 및 교환→성찰수준→의견조정 vs. 의견공고화→정책수용성)가 실험참여자의 원자력 지식보정(knowledge calibration) 수준에 따라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숙의적 원자력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해 고려해야 하는 제도적, 미시적 요인들을 고찰하고, 원자력 지식보정 차원에서 원자력 교육과 정책소통의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As deliberative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of nuclear energy grow in popularity and importanc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empirical and public policy implications of such approaches. The risk, complexity, uncertainty, and conflict of nuclear energy raise critical concerns about whether and how deliberative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of nuclear energy contribute to better quality of nuclear energy governance and policy actors’ decisionmaking and problemsolving. To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employs a one-group posttest-only field experiment desig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eliberative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policy actors’ reflection, opinion modification, opinion polarization, and policy acceptance based on Mutz’s theory on cross-cutting networks. In addition, this article tests the role of policy actors’ nuclear energy literacy and calibration—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knowledge and perceived knowledge (i.e., how much they think they know) in the effectiveness of deliberative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flective thinking mediates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deliberative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the enhancement of opinion modification and the reduction of opinion polarization. In this process, opinion modification has a favorable influence on policy acceptance, whereas opinion polarization does not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increase in policy acceptanc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model comparisons between knowledge calibration groups and knowledge mis-calibrated groups, this article offers several explanations for why and how knowledge calibration affects policy actors’psychological governance process and policy acceptance in terms of decisionmaking and problemsolving perspective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ormulating more sound public polici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future nuclear energy governance preparedness or nuclear policy communication a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