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로벌 핵안보 거버넌스의 가능성과 한계 -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에서 한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Global Nuclear Security Governance : Focusing on the Korea’s Role in the Second Nuclear Security Summi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2.06
29P 미리보기
글로벌 핵안보 거버넌스의 가능성과 한계 -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에서 한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책개발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책개발연구 / 12권 / 1호 / 75 ~ 103페이지
    · 저자명 : 한용섭

    초록

    핵테러가 발생할 경우 그 피해는 재앙적이고 천문학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핵테러는 예방이 최선이란 국제적인 공동 인식하에 오바마 대통령의 주도로 핵안보정상회의가 시작되었다. 워싱턴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과를 확대하고 그 한계를 시정하기 위해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한국은 중견국가로서 글로벌 핵안보거버넌스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창의적인 노력을 기울였고, 핵안보정상회의는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과는 핵안보정상회의 프로세스의 지속, 국제핵안보체제의 강화와 핵안보를 위한 다자적 협력의 촉진, 핵물질과 방사성물질의 최소화와 안전한 전환과 관리, 핵안보와 원자력안전의 상호관계의 강화, 핵물질의 불법거래의 차단과 운송보안 장치의 마련, 핵감식기술의 개발과 정보보안의 필요성 강조, 핵안보문화의 장려 등으로 집약될 수 있다.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의 괄목할만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핵안보거버넌스가 강화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과 과제가 제시되고 있다.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핵안보조약의 필요성, 핵안보감시기구의 설립과 제도화, 핵무기보유국가가 보유한 핵물질을 핵안보체제의 관할로 편입하는 문제, 국가들에게 제공할 인센티브와 제재조치의 제도화, 핵안보정상회의 프로세스의 정례화, 핵안보거버넌스의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전문가와 원자력 산업체 간의 국내외적 복합적 네트워크 구축 등이 요구되고 있다. 핵무기 없는 세상이란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서 핵군축, 핵비확산에 이어서 가장 늦게 출발된 핵안보라는 개념이 현실에 뿌리를 내리고 지속적인 발전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핵안보거버넌스의 강화가 필요한데,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의 과정에서 축적된 한국의 글로벌핵안보거버넌스의 전문성과 국내외적 네트워크를 강화시켜 한국이 중심적 역할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Given the catastrophic consequences of the nuclear terrorism, world leaders strongly felt the need for a global nuclear security regime to prevent the nuclear terrorism. Thus, the first Nuclear Security Summit (NSS) was held through the US President Obama’s initiative in Washington in April 2010 to discuss how to build and strengthen a nuclear security regime. In the first NSS, a global consensus that nuclear security is urgent and requires concrete actions to improve it was reached among world leaders.
    Despite plenty of voluntary commitments made by individual countries, the first NSS left a lot of challenging tasks for the second NSS. Therefore, the second NSS convened in Seoul in March 2012 and went a step further to formulate and strengthen a global nuclear security governance in recognition that global security agenda requires a global security governance where all the relevant stakeholders in the nuclear security must partake and communicate one an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nuclear terrorism because nuclear terrorists are non-state actors.
    The Seoul NSS achieved a historic success in such issue areas as the continuing of the nuclear security summit process, the strengthening of a global nuclear security architecture, the reaffirmation of the IAEA’s role, the promotion of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advance the nuclear security, the minimization of nuclear materials including securing radioactive materials, the strengthening of the interface between nuclear security and nuclear safety, transportation security, combating illicit trafficking, nuclear forensics, nuclear security culture, informations security, etc. All these wonderful achievements could have been made by South Korea which exercised its unique international status as a middle power so skillfully as to promote an international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Nonetheless, there remain many challenging tasks in order to build a robust global nuclear security governance: creating a universal nuclear security framework agreement or treaty like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establishing a global supervisory institution to oversee the performance of countries and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nuclear security; building international experts’ network for global nuclear security governance, and; addressing the triple interface between nuclear disarmament, nonproliferation, and nuclear secu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