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운 기술-환경 거버넌스를 위한 고찰: 환경현상학 및 행위자-연결망 이론의 접점에 대한 탐구 (New Perspectives on the Techno-Ecological Governanc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Eco-phenomenology and Actor-Network Theor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5.06
40P 미리보기
새로운 기술-환경 거버넌스를 위한 고찰: 환경현상학 및 행위자-연결망 이론의 접점에 대한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ECO / 19권 / 1호 / 321 ~ 360페이지
    · 저자명 : 이준석

    초록

    이 논문은 우선, 최근 형성되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이해의 틀 두 가지를 살펴 보고나서 이 두 이론의 접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첫째는 십여 년쯤 전 새롭게 등장한 환경현상학이다. 환경현상학은 환경담론 분야에서 새롭게 구성되고 있는 인류의 공통 경험을 해석하기 위해 창안되었다. 다만 아직 국내외 환경사회학 및 과학기술학(STS)분야에서는 환경현상학과 연관된 논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본고의 앞부분은 이 새로운 사상조류를 검토해 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환경현상학에서는 기술과학을 현존재의 경험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한다. 인간이 기술과학을 잘못 활용하여 현재의 환경위기가 발생하였다면 인간과 기술 사이에 올바른 거버넌스의 관계를 구축하고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글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두 번째 이론은, 과학기술학계에 등장하여 사회학, 인류학, 인문지리학, 생태학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행위자-연결망 이론(ANT)이다. 행위자-연결망 이론은 기술과학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특히 행위자-연결망 이론의 주요 이론가인 브루노 라투어의 사상은 인간과 환경 및 기술과학에 대해 근대주의를 너머서는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환경 거버넌스를 위해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재정립하는데 유용한 도구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는 이 두 가지 이론의 접점을 모색해보고, 그것이 자연과 사회, 역사적으로 구성된 인간 주체와 물리적인 시간 속의 비인간 객체 사이에 프래그마토고니(pragmatogony)의 새로운 연결고리를 제시할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ain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wo recently emerging theories about society and nature. These theories both deal with new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human actors and nonhuman actants; values and facts. First theory is eco-phenomenology which emerged 10 years or so ago. In general, phenomenology regards the role of technology highly important to the experiences of Dasein. If man has developed incorrect or bad relationship with technology, and it resulted in current ecological crisis, then we need to redesign the link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ctor-Network Theory (ANT), the second theory that this article analyzes, is good at this task. ANT has been evolved since 1980’s by John Law, Michel Callon and Bruno Latour. One of its developers, Latour has been developing a non-modernist viewpoint on our nature and culture, namely amodernism and compositionism. Latour’s idea is to deny the old dichotomy that the modernism has been claimed. He created a neologism, pragmatogony to assert a new direction from nature to culture instead of from culture to nature. He also developed a theory of ecological politics to build a Parliament of Things to initiate Dingpolitik. We will research into these two theories, to see if a meeting between them can be arranged. When achieved, this new conjoined approach will help us to build a better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ECO”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