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경윤리학의 법정책적 거버넌스 정립을 위한 「뇌연구촉진법」개정에 관한 소고(小考)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for the Establishment of Legal Policy Governance in Neuroethic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3.02
42P 미리보기
신경윤리학의 법정책적 거버넌스 정립을 위한 「뇌연구촉진법」개정에 관한 소고(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과학기술법연구 / 29권 / 1호 / 35 ~ 76페이지
    · 저자명 : 강태우, 정성진, 오태원

    초록

    현재 뇌연구는 인공지능, 기계와 연결하는 등 융합기술로 진화하며 인간의 존엄성과 정체성에 대한 의문 등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뇌연구로 인한 법률적, 윤리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논의와 대안 준비가 미비한 현실이다. 뇌연구로 인한 윤리적 문제를 연구하는 분야를 신경윤리학이라고 한다. 해외 주요 선진국은 뇌연구 촉진과 더불어 신경윤리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1998년부터 국가 차원에서 뇌연구 진흥을 위해 「뇌연구촉진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뇌연구의 성과 활용과 기술의 산업화에만 주력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신경윤리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미래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도록 노력해야한다. 뇌연구로 인한 문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법정책적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정부, 전문가, 일반인들이 함께 신경윤리학에 대하여 논의하고 참여하는 사회적 기반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뇌연구촉진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개정의 주요내용으로는 ① 뇌연구의 미래 방향성 설정과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국가신경윤리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며, ② 이런 제도적 노력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고, 실무적으로 국제협력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국제신경윤리센터’를 지정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법정책적 거버넌스 구축은 우리 사회가 뇌연구로 인한 새로운 사회변화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Currently, Neuroscience is evolving into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nection with machines,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questions about human dignity and identity. However, discussions on legal, ethical, and social problems caused by neuroscience and preparation for alternatives are insufficient. The field of studying ethical problems caused by neuroscience is called neuroethics. Major developed countries abroad are conducting active research on neuroethics along with promoting neuroscience. Since 1998, Korea has enacted and implemented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to promote neuroscience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only focuses on the use of the results of neuroscience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echnology. Now, Korea should also try to preemptively respond to future problems by forming various social consensus based on neuroethics. New legal policy governance is needed to effectively cope with problems caused by neuroscience.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social foundation on which the government,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discuss and participate in neuroethics together.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As the main contents of the revi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National Neuroethics Committee" to set the future direction of brain research and form social consensus, and to designate and operate the "Global Neuroethics Center" to support these institutional efforts in policy and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research. The establishment of such legal and policy governance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our society to actively cope with new social changes caused by neuro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