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농정 거버넌스 구축 요인들 간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iorities among Determinants of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Focused on Experts’ Perception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4.02
20P 미리보기
지방농정 거버넌스 구축 요인들 간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정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정부연구 / 17권 / 4호 / 101 ~ 120페이지
    · 저자명 : 문유석, 이시원, 정준금, 최상한

    초록

    그동안 우리나라 농정은 전문가들의 참여가 어느 정도 있긴 하였지만 정부주도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나근래 들어 우리 농정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실질적 참여가 보장되는 거버넌스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특히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의 농정 거버넌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시 ・ 군 등 기초자치단체는 농정이 이루어지는 최일선으로서 자체농정을 실현할 수있는 최소단위의 정부이기 때문이다.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농정 관련 이해관계자들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협력체제의 구축을 통해 지역실정에 맞는 정책의 결정과 집행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것이다.
    이러한 맥락하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 수준의 수평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요인들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보았다. 선행연구의 검토와 농어업회의소 사무국장들과의 면담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농정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요인들을 추출하여, 그 요인들을 상위요인과 세부요인으로 나눈 후 지방농정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계층화분석(AHP)을 실시하였다. 총 28명의 전문가 조사에서 파악된 지방농정 거버넌스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 결과, 5개의 상위 요인 중에서는 농민(단체포함)의 농정 거버넌스에 대한 역량 및 태도개선의 중요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지방정부(단체장 및 공무원)의 농정 거버넌스에 대한 역량 및 태도 개선, 이해관계자들간의 상호신뢰 구축, 농정 거버넌스 기구의 정비 ・ 보완, 지방농정 거버넌스에 대한 환경 지지 확보 순으로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자치단체에서의 수평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몇 가지 전략적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Governance can be seen as an alternative way of doing public affairs through cooperative work among relevant stake-holders. Like in many other fields, experts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have suggested that governance needs to replace government to secure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Being the frontier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with the presence of strong sense of community, local governments are believed to be the right places where governance can be effectively operated among relevant stake-holder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farmers, local assemblies, agencies of central governments, and others. When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is properly operated, both responsiveness and democracy i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can be substantially improved. Governance also can play a role of educational incubator for direct democracy, which will help farmers explore their own future for themselves through enlightenment and training. Because of these features, many advanced countries have replaced traditional agricultural administration into agricultural governance. But, in Korea, local governance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so that collective wisdom to build governance is needed. Under these context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essential factors of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and evaluate their significance by using the method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28 experts evaluated that, among the five factors, improvement of farmers’ capacity and attitude toward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LAA) is the most important one followed by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capacity and attitude toward LAA. Among the twenty-five sub-factors, the experts evaluated that farmers’ sense of participation is the most important one followed by mayor’s recognition on the need for LAA, mayor’s strong support for LAA, cultivation of leadership of farmers’ associations, improvement of representation of farmers’ associations, and so 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feasible policy alternatives to build LA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정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