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원 산간 지역의 동제(洞祭) 양상 및 특성- 산신제, 성황제, 거리제를 중심으로 -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al Village Ritual has to in the Gangwon Mountains local -Focusing on the Sansinje, Seonghwangdang, Georij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7.06
27P 미리보기
강원 산간 지역의 동제(洞祭) 양상 및 특성- 산신제, 성황제, 거리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56권 / 1호 / 3 ~ 29페이지
    · 저자명 : 강명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계에 알려져 있지 않은 강원도 산간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동제의 몇 가지 방식을 조사, 채록해서 살펴보고, 동제 양상이 인문지리적 측면과 관련이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대상은『한국의 마을제당』에서 누락된 ‘고성 거진 산북리’, ‘강릉 연곡 삼산리’와 이 책에서 제시된 것과 실상이 다른 ‘고성 토성면 도원리’, ‘홍천 내면 창촌리’, ‘홍천 서석 수하리’, ‘홍천 서석 검산리’, 그 외 원주, 정선, 춘천 지역의 동제를 대상으로 했다. 강원산간지역의 동제는 마을에 따라서 산신만 섬기는 경우, 산신과 성황을 모두 모시는 경우, 성황과 거리제를 함께 모시는 경우, 거리제만 모시는 경우, 산신, 성황, 거리제를 모두 지냈던 지역이 있었다. 성황제만 섬기는 곳에서는 성황제를 산신제로 인식하고 있기도 했지만 둘 다 지내는 곳에서는 차이를 두고 있었고, 제의를 지낼 때는 산신당에서 먼저 지내고 그 다음 성황제의를 지내고 있었다. 또한 산신당은 대부분 성황당 보다 위에 있거나 숲 속이나 개울가에 있는 등 보다 외진 곳에 있다고 할 수 있었다. 성황제나 산신제가 없이 거리제 하나만 지내는 곳에서는 대부분 거리제를 성황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듯이 그 지역 상황이나 마을 주민들의 향유의식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산신당은 인문지리학적으로 높은 산이 있는 지역에서 주로 지내고 있으며, 성황당보다 높다고 보고 있고, 하늘을 상징하기도 하며, 대체적으로 예전에는 백설기를 진설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거리제를 지내면서 백설기를 진설하는 곳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었다. 또한 여신이라고 알려진 제의에는 대부분 수소나 수퇘지를 올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여신을 섬기는 곳에서 여자의 참여를 거부하거나 좋아하지 않는 곳도 있었으며, 심지어 당에 여자가 들어가면 해코지(치골)를 한다고 알려진 경우도 있었다. 산신제와 성황제를 하는 목적은 마을의 안녕과 풍요였으며, 거기에 비해 거리제를 하는 주 기능은 나쁜 기운을 몰아내는 기능, 즉, 축귀에 있었다. 하지만 확정적인 결론을 내리기에는 답사나 조사 숫자가 많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절대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개인 제사가 가가례(家家禮)이듯이 동제도 마을마다 차이가 있어서 고정된 틀을 제시하기는 성급하다. 후고를 기약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imed at investigating and recording methods of rites in mountainous territory in Gangwon-do Province which is not well-known in academic world. The region’s rites in mountainous territory in Gangwon-do have various types and names. But classifing them under large five groups, there are Sansinje(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Seonghwangje, Georije, Socdeaje, and Jangseungje in general. They are performed in the singular mode or multiple modes independently in some areas. The region has performed one ritual, Seonghwangje identifies Seonghwangje with Sansinje. That is, Sansin and Seonghwang are regarded in the same light. In this case there is one shrine which equates Sansinje with Seonghwangje. This typical region is Hongcheon, Nemeon, Changchon 1ri. One of the places where Georije alone has been performed without Seonghwangje and Sansinje has been Hongcheon, Dongmeon, Geolgol so far. One of the places where Socdeaje alone has been performed is Wonju Buron Jungsanri. The place in Hongcheon, Bukbang Whadongri performs the rite, Jangseungje. Also both Seonghwangje and Socdeaje, Seonghwangje and Jangseungje, Sansinje and Jangseungje, and Sansinje and Georije have been held in some areas. The place where Sansinje, Seonghwangje and Georije together have been held is Hongcheon, Seosuk Gumsanri. People think that Sansindang is higher level than Seonghwangdang from results of investigation. Sansindang has symbolized the heaven and served baekseolgi, steamed white rice cake. Futhermore the ritual for goddess has been performed by serving oxen or boars. The place for worshipping goddess is not permitted women’s participation. The aim of Sansinje and Seonghwangje is well-being and richness in the villages. As compared with these, the purpose of Georije is also well-being and richness in the villages. But the main function is to drive off evil spirits, exorcism. This paper introduces the details about region’s ritual in Gosung Keojin Sanbukri, Gangneung Yeongok Samsanri, Hongcheon Seosuk Gumdanri Jeolgol, Wonju Buronmeon Jungsanmeon, where inhabitants of a village have clear consciousness of purpose for the ritual. But it couldn’t be found the correlation of anthropogeographical in this areas. Approximatively, the places with high mountains worship the Sansin, mountain spirit first of all. The plain places perform Georije, Socdeaje, and Jangseungje in general but not necessarily perform this rituals. Villages’ rites vary by each village without specific mode like household’s rites vary by each family. It might come to a conclusion by investigation in more pl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