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말기 종이연극(紙芝居)의 실연(實演)과 제국의 이벤트Ⅱ (Stage Performance of Paper Theatre during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Imperial Event II)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일제 말기 종이연극(紙芝居)의 실연(實演)과 제국의 이벤트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36권 / 292 ~ 318페이지
    · 저자명 : 문경연

    초록

    본고는 일제 말기 ‘종이연극(紙芝居, 카미시바이)’에 주목하여 식민지 조선에서 기획, 공연된 종이연극의 레파토리를 수집하고, 종이연극이 기획되는 방식에서 현실효과를 발생시키는 지점까지 고찰해보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시국인식, 방공방첩, 납세, 저축, 근로보국 등의 주제는 전시체제기 일본과 식민지에서 동일하게 호출되는 메시지였지만, 조선에서는 ‘지원병 모집’과 ‘국어상용’ 등의 주제가 특별 강조되는 주제였음을 확인하였다. 종이연극이 공연되고 발생시킨 미담 효과 안에서 ‘동원되면서 동원하는 자’라는 식민자의 이중적 지위에 주목했다. 식민지 조선의 종이연극은 특히 기민하게 당대의 ‘실화(實話)’를 종이연극의 소재로 활용하여 충량한 신민, 전쟁하는 신민을 주조하고자 했고, 적극적인 ‘현상모집’을 통해 제국주의적 성과를 서사적으로 상상하는데 식민지 조선인들을 동원하였다. 하지만 오락을 표명한 교화적 프로파간더로서의 종이연극이 어쩌면 오락적 효과 이상의 총후미담을 생산하는데 역부족일 수 있었던 반효과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focus on and trace the production and stage performance of paper theatre (J. kamishibai) during the occupation of Korea by Japanese empire and shed light on its real effects. As the World War II drew to a close, the role of paper theatre as a cultural propaganda tool was reinforced, which mad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take more careful and closer control over paper theatre. This, in turn, serves as an evidence which attests to the status of paper theatre as part of the empire’s ruling strategy. The moving stories of the colonists who were so moved that they willingly made national defense contribution after watching the paper theatre would have made the imperial rulers expect an even stronger impact from the paper theatre.
    This paper includes as its empirical data a substantial amount of Korean paper theatre repertoires during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I have secured as much as possible. In so doing, I was able to determine that messages calling for awareness of the current situation, anti espionage, tax payment, or savings were the recurring themes in both the empire and the colony alike during the wartime, while the “military recruitment” and “everyday use of national language [i.e. Japanese]” were the ones that were particularly underscored in Korean peninsula. “Descriptions” on the back of paper theatre scripts demonstrate the ambivalent position of the paper theatre performers as “the recruited and the recruiter.” The cases of reportage or true story based paper theatre in Korea are the cases, in which colonists were actively mobilized in imagining the imperial achievement in narratives through the prize competitions for new paper theatre scrip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