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플랫폼 시대 자동화 거버넌스와 ‘나쁜 말’의 규제 (Automated Governance in Digital Platform Age and Exploration of ‘bad words’ regulation in South Kore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3.03
41P 미리보기
디지털 플랫폼 시대 자동화 거버넌스와 ‘나쁜 말’의 규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40권 / 1호 / 277 ~ 317페이지
    · 저자명 : 홍남희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 중심의 동시대 매체 환경에서 인터넷 내용규제가 점차 자동화 거버넌스 체제로 구축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화 거버넌스가내용규제를 ‘무례함’ 혹은 ‘나쁜 말’의 규제로 환원시키고 있다고 보았다. 혐오표현, 테러리즘 정보, 성차별적 혐오표현 등이 디지털 플랫폼을 매개로 유통되는 환경에서 디지털 플랫폼의 사회적 책무로서 콘텐츠에 대한 관리 및 조정(moderation) 의무가 부상하고 있다. 국가와 사회의 요구에 따라 디지털 플랫폼은 AI를 도입해 자동화된 콘텐츠 관리 및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데, 이러한 자동화 거버넌스는 온라인에 유통되는 방대한 정보 양으로 인해 정보의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방식이자 사회적 문제의 기술적 해법 방식이며, 기존의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욕설, 표현의 강도를 규제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자동화 거버넌스는 AI를 통해 거버넌스를 기계화, 자동화하는 방식임과 동시에, 인간에 의해서 수행되더라도 욕설, 표현의 강도를 기준으로 기계적으로 수행되는 내용규제를 뜻한다. 이러한 자동화 거버넌스 과정에서 미묘한 차별 및 혐오표현이나 기술-인간이 매개된 다양한 괴롭힘 행위, 시각적인밈의 유통 등은 규제되지 않으며, 주로 데이터셋에 선(先) 저장된 공격적이고 저속한 표현, 욕설 등 ‘나쁜 말’의 규제가 정착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자동화 거버넌스가 오늘날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개인화, 사법화하고 있으며, ‘저속한 말’ 중심 규제로 환원되면서 기술-인간-문화가 결합한 디지털 환경의 맥락을 제거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따라서 인터넷 내용규제가 사회적, 역사적 맥락, 차별에 대한 감수성을 고려하여 재편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n a situation where digital platforms play a role in mediating our daily life and culture, content moderation is gradually changing to an automated governance system. In a digital platform ecosystem where User Generated Content (UGC) is the core, content moderation is defined as removing or prohibiting illegal or harmful content. As hate speech, terrorism, and sexism occur through digital platforms, and most countries impose the task of content moderation as a social responsibility of digital platforms. Under the needs of the state and society, digital platforms introduce AI to build an automated content moderation and governance system. In an automated governance system, offensive and bad words stored in datasets are automatically filtered out, and content moderation centred on aggressive “bad words” that are hostile and unpleasant is being established. This article criticizes that such automated governance is personalizing and judicializing various issues arising in the digital ecosystem, and eliminating the complex and diverse context of technology-human-culture by reducing specific vulgar language. Therefore, it is argued that content moder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y-human-culture, consider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and sensitivity to discri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