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 비영리 조직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의 거버넌스 요소 평가 연구 (A study evaluating governance elements of public design projects in European nonprofit organization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4.04
12P 미리보기
유럽 비영리 조직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의 거버넌스 요소 평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3호 / 461 ~ 472페이지
    · 저자명 : 이은영,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됨에 따라 유럽에서는 일찍이 다자간 디자인 거버넌스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해 공공 환경 개선을 위한 다수의 범유럽 비영리 디자인 네트워크 조직 체계를 구축해왔다. 유럽을 대상으로 하는 European Prize for Urban Public Space 어워드(이하 EPUPS)는 미래 공공 공간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고 있는데, EPUPS 수상작을 살펴보면 2012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조직의 프로젝트가 다수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유럽 내 비영리 조직의 디자인 활동이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공공디자인 영역 내 비영리 조직에 대한 선행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 공공디자인 관련 비영리 조직의 공공 공간 개선 방법으로서의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고 프로젝트별 거버넌스 요소 평가를 통해 국내 비영리 조직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협력 체계를 제안함에 있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국내외 문헌 고찰을 통해 유럽 내 비영리에 대한 개념, 공공디자인 영역에서의 선행 연구 현황, 유럽 디자인 거버넌스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EPUPS가 시작된 2000년부터 2022년까지의 총 수상작 382개를 전수조사하여 비영리 조직 프로젝트가 다수 등장하기 시작한 2012년을 기준으로 2022년까지의 수상작 112개 중 비영리 조직이 추진한 프로젝트 11개를 선별하였다. 셋째, 각 프로젝트 거버넌스 요소 평가를 위해 RACI(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개념을 적용한 이해관계자 참여 유형 분석 매트릭스를 활용해 주체별 참여 정도를 시각화하고 종합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비영리 조직들의 프로젝트는 목적에 따라 지역 사회의 고립 해결, 방치된 공공 공간 재생, 지역의 천연 자원 새 활용, 지역민 간 소통을 위한 대상지의 임시적 활용 등의 특징으로 나뉘었다. 또한 기반적 특징에 따라 풀뿌리 활동 기반 조직, 기업 내 별도 운영 프로젝트 조직, 지역 전문가 기반 조직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거버넌스 요소 평가를 통해 프로젝트별 다양한 협력 체계 및 참여 주체의 참여 수준을 도식화하고 공통 참여 주체에 따라 A, B, C, D그룹으로 분류·분석하였다. A그룹은 비영리 조직, 공공 기관, 지역민, 지역 공동체 간 협력을, B그룹은 비영리 조직, 공공 기관, 지역민, 지역 전문가 간 협력을, C그룹은 비영리 조직, 공공 기관, 지역민 간 협력을, D그룹은 프로젝트별 다자간 협력으로 구성되었다. 분석틀에 따른 그룹별 참여 수준 점수는 A그룹이 가장 높은 점수에 해당되었고 이 외, D, B, C그룹 순으로 정리되었다. 이후 표로 정리한 비영리 조직 특징에 따른 분류. 프로젝트별 개요. 프로젝트 거버넌스 요소 평가. 프로젝트별 주체 참여 수준에 따른 종합 분석을 통해 각 비영리 조직의 결성 배경이 프로젝트별 참여 주체 구성, 주체별 참여 수준과 연관이 있으며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비영리 조직의 인적 네트워크 또한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 영역 내 비영리 부문에 대한 기초 자료 축적을 위해 유럽 비영리 조직 프로젝트 사례 분석 및 프로젝트별 거버넌스 요소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비영리 조직이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공공 공간 개선 디자인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비영리 조직 결성 배경과 이에 따른 거버넌스 구성 요소, 주체별 참여 수준과의 관계성을 인지하여 공공디자인 영역에서도 비영리 부문의 다양한 조직 구성을 장려하고 비영리 주도의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를 활발히 추진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 방향으로는 본 연구와 연계하여 해당 11개 비영리 조직 프로젝트의 거버넌스 구조를 심층 분석할 예정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societies become more pluralistic, Europe has been quick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ltilateral design governance and has organized several pan-European non-profit design networks to improve the public environment. Looking at the winners of the European Prize for Urban Public Space (EPUPS), several projects by non-profit organizations have emerged since 2012. However,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public design doma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sign practic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volved in public design in Europe to improve public spaces and propose cooperation schemes that can be utilized by domestic non-profit organizations through the evaluation of project-specific governance elements. (Method) Through a review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the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non-profit in Europe, the state of previous research in the field of public design, and European design governance. It identifies 11 non-profit projects out of the 112 projects awarded by the EPUPS from 2012–2022. A stakeholder engagement typology analysis matrix, using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 (RAM) called Responsible, Accountable, Consulted, and Informed (RACI), is used to visualize and synthesize the level of engagement of the actors. (Results) The non-profit organizations’ pro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objectives, such as addressing community isolation, revitalizing neglected public spaces, reusing local natural resources, and temporarily using the destination site for communication among local people. They were further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basic characteristics, such as grassroots activity-based organizations, separate operating project organizations within companies, and local expert-based organizations. Through the evaluation of governance factors,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various cooperation systems and participating entities in each project was diagrammed,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groups A, B, C, and D according to common participating entities.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the actors by project shows that the formation of each non-profit organization is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ipating actors by project,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each actor, and the importance of the human network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for project implementation.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case studies of European non-profit projects and evaluated project-specific governance elements. Hence, different design methods for improving public spaces were made available for national non-profit organizations. In addition, by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s formation, the governance component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each actor, the study provides data to encourage diverse organizational structures in the non-profit sector and promote non-profit-led public design pro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