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모델 연구 (The Politics and Governance of ‘Maeul’ Community Archives in South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5.07
32P 미리보기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모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록학연구 / 45호 / 51 ~ 82페이지
    · 저자명 : 이경래

    초록

    이 논문은 국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주민 주도형 마을아카이브 거버넌스 구축과 이의 지속성을확보하기 위한 기록학적 방안을 구체화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먼저 역사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마을과 마을공동체의 역사적 형성과 쇠락의 과정 속에서 자생적으로 출현했던 성미산과 풀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출현을 살핀다. 본 연구는 풀뿌리 운동의 일환으로 구축된 이들 ‘독립’ 공동체 아카이브를마을 공동체의 내적 동인에 의해 추동된 자율적·자생적 산물로 바라본다. 반면 2000년대 접어들면서 이러한 독립 마을 공동체아카이브가 민·관 협업에 의해 새로운 공동체아카이브의발전 국면에 돌입했다고 본다. 이 글은 서울시가 마을아카이브 시범사업을 통해서 과거 중앙정부 주도의 전시행정적 컬렉션 구축을 넘어서서 마을주민 스스로 아카이브를 구축할 수있는 역량 강화에 일부 성공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서울시의 거버넌스 모델은 궁극적으로 정책 사업화하면서 오히려 마을아카이브가 지니는 풀뿌리적 성격과 아카이브의 지속적 발전 개념을 확보하기에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글은 실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시범사업에 대한 분석을통해 그 명암을 살펴보고,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발전적 대안을 마련한다.

    영어초록

    Maeul-making, which is to restor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maeul as a living community has been proceeded by local communities themselves since the 1990s when political democracy and local government in Korean society has been progressed in full-scale. Although New Maeul Movement has been done in the 1970s before and after, it is different from maeul-making because it was focused mainly on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s of rural communities and initiated by government. The development of maeul community archives in Korea has been related closely to such a maeul-making since the 1990s.
    Maeul-based community archives, maeul community archives had been begun to build as part of maeul-making and grass-root movement by the 2000s. Initiated by self-motivated communities, maeul community archives were carried out through cooperations between civic activists and residents in maeul communities and voluntary professional archivists from outside.
    Although records about the maeul community has been collected by mainstream cultural institutions such as public archives, museum, local historical association, and local cultural center, it was at this time to collect records of the maeul community by self-motivated local residents. This tendency of ‘independent’ maeul community archives, however, is currently entering upon a new phase with the city of Seoul’s project (2012) to support making a maeul community, that is, the governance phase based on private-government partnership. At this point of time, it is important for maeul community archives to be built on privately-led governance model that guarantees their autonomy and at the same time bring government‘s knowhow and supports into them, as opposed to the way captured or driven unilaterally by government.
    This article explores the growth of maeul community archives and collections in Korean society through a range of self-motivated bodies; the interaction with government; and as a result of those interactions, the creation of maeul community archives based on governance. To introduce and explicate the motivations behind maeul archiving endeavors, this article will first sketch something of the historic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in which ‘maeul’ communities have arisen, collapsed, and restored. It will then examine in more detail some specific examples of maeul community archives as grass-root movement of maeul community. The third section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governance model of maeul community archives under the auspices of the city of Seoul and its limitations. Finally through these activities, it will suggest the ways in which maeul community archives commit themselves to their duty of grass-root movement of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secure sustainability, that is, concrete ways of privately initiated governance mod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록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