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林居四訣』異本 연구 (A Study on the Imgŏsagyŏl(林居四訣) Manuscript Cop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4.06
38P 미리보기
『林居四訣』異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68권 / 187 ~ 224페이지
    · 저자명 : 표가령

    초록

    본 연구는 현전하는 6종의 필사본 『林居四訣 』의 현황을 정리하여 소개하고 각각의 특징과 성격을 비교․고찰하여 善本을 확정한 것이다. 『임거사결 』은 兪彦鎬(1730~1796)가 1779~1781년경에 고향인 경기도 안성에서 옛 중국 문인들의 청아하고 운치 있는 일화를 達, 止, 逸, 適이라는 네 가지 항목에 따라 분류하여 엮은 淸言選集이다. 국내에는 총 6곳에 소장된 7종의 필사본 『임거사결 』이 확인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확인이 불가능한 1종을 제외한 6종 이본 간의 관계와 성격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규명하였다.
    첫째, 6종의 이본은 2종의 完本과 4종의 抄本으로 나뉘며 완본 가운데 중앙대본을 선본으로 확정하였다. 둘째, 출처 문헌 표기 방식을 통해 볼 때 장서각본과 경기대본은 중앙대본 혹은 중앙대본과 동일한 모본을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단국대본(I)는 여타 초본들과 다른 계열로, 필사자의 적극성이 비교적 두드러지는 이본이다. 넷째, 중앙대본의 결락 부분은 단국대본(서)로 보완된다. 따라서 선본의 원래 형태를 추정해보면 『임거사결 』의 전체 칙수는 권1에 61칙, 권2에 74칙, 권3에 53칙, 권4에 184칙으로 도합 372칙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중앙대본과 장서각본은 늦어도 19세기 초반, 국중도본은 1824년경에 필사된 이본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roduces six manuscript copies of Imgŏsagyŏl, which are held by five different libraries in South Korea, to academia for the first time. Its aim is to explore their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order to determine which one is the optimal copy. Imgŏsagyŏl is a collection of Qingyan selections compiled by Yu Eon-ho(1730~1796) between 1779 and 1781 in Anseong, Gyeonggi-do, his hometown. It groups anecdotes of ancient Chinese literati into four categories: Dal(達), Ji(止), Il(逸), and Chŏk(適). A total of seven manuscript copies of Imgŏsagyŏl are housed in six locations in South Korea, with this study focusing on six copies and excluding one that is currently unavailable. This paper highlights five aspects of these six manuscript copies.
    Firstly, the six manuscript cop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complete texts and four abstracts. Among the two complete texts, the Imgŏsagyŏl manuscript copy held by Chungang University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CAU Imgŏsagyŏl”) can be confirmed as the optimal version of the text.
    Secondly, through the citation of source literature, it appears that the Imgŏsagyŏl manuscript copy held by Jangseogak and the one held by Kyonggi University were transcribed either from the CAU Imgŏsagyŏl or from the same manuscript as the CAU Imgŏsagyŏl.
    Thirdly, the Imgŏsagyŏl manuscript copy held by Dankook University(Book Number: IOS고 152.22 임962) is markedly different from the other abstracts and prominently showcases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transcriber.
    Fourthly, the missing parts of the CAU Imgŏsagyŏl are supplemented by the Imgŏsagyŏl manuscript copy held by Dankook University(Book Number: 서민,고 170.202 임962). Considering this, we can estimate that the original form of the CAU Imgŏsagyŏl, consisted of 372 articles in total, with 61 articles in Volume 1, 74 articles in Volume 2, 53 articles in Volume 3, and 184 articles in Volume 4.
    Finally, the CAU Imgŏsagyŏl and the Imgŏsagyŏl manuscript copy held by Jangseogak are estimated to have been transcribed no later than the early 19th century, while the Imgŏsagyŏl manuscript copy hel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estimated to have been transcribed around the year 1824.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