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任相元의 『郊居瑣編』 소재 문학비평 양상 고찰 (The aspect on literary criticism of Im Sangwon(任相元) in 『Gyogeo Soaepyeon(郊居瑣編)』)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6.03
27P 미리보기
任相元의 『郊居瑣編』 소재 문학비평 양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46권 / 46호 / 195 ~ 221페이지
    · 저자명 : 조정윤

    초록

    본고는 任相元(1638~1697)의 저술 『郊居瑣編』(『郊居瑣編 下』 포함)에 수록된 문학 관련 내용을 추출해서 임상원의 문학적 시각 및 비평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임상원은 豐川 任氏 명문가의 후예로, 독서를 중시하여 다양한 서적을 섭렵하였다. 또한 문과급제 후에는 문장력이 중시되는 관직을 두루 역임하며 많은 문사들과 교유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 그는 자신의 문학적 감식안을 넓혀나갔는데, 그의 문학적 관심은 우리나라의 문예뿐 아니라 중국의 문예에 까지 확장되어 있었다.
    임상원은 錢謙益(1582~1664)에 대해서 비교적 일찍부터 인지하고 있었다. 그는 『교거쇄편』에 전겸익의 문집 『初學集』과 『有學集』을 김석주로부터 빌려 보았음을 기록하였다. 이는 전겸익 문집이 적어도 1683년 이전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는 전겸익의 문장을 명말 제일이라고 평가하였으나, 조선과 조선의 시를 무시한 전겸익의 언급에 대해서는 반박하기도 하였다. 王世貞(1526~1590)에 대해서는 明 대가로 보는 한편, 그의 문학의 문제점 및 한계에 대한 비판적 認知도 하고 있었다. 또한 李攀龍(1514~1570)의 의고적 문장에 대해서도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前後七子에 비판적이었던 唐順之 및 錢謙益의 문집을 이미 접했던 임상원은 金昌協 및 그 門徒들보다 이른 시기에 왕세정을 비롯한 秦漢古文派에 대한 비평을 선보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교거쇄편』의 우리나라 문예 비평은 주로 품격비평 양상을 띠는데, 시가 전범에 근접한 정도의 평가, 시인 간의 우열 비교, 중국 시인과의 대응 등과 같은 방식을 보인다. 盛唐詩를 전범으로 보았지만 실제 비평에 있어서는 盛唐이라는 일률적 기준이 아닌 시인 當代에 추숭했던 典範的 시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 실제 창작에서는, 시의 字句 및 詩法[詩道]의 공부, 시인의 타고난 재주와 기상, 정신을 집중해서 창작에 힘쓰는 노력, 그리고 풍부한 양의 독서를 바탕으로 한 식견과 학식을 모두 갖추었을 때 최상의 시를 쓸 수 있다고 보았다.
    임상원의 문예비평은 심도 있게 전개되지는 않았으나, 17세기에서 18세기로 넘어가는 문예비평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즉 漢詩史에서는 尊唐的이면서 復古的 詩風을 중시하는 모습, 散文史에서는 前後七子의 의고적 문풍의 문제적 요소를 파악하고 그 비판과 극복으로 이어지는 18세기 산문비평의 先導的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focused on reviewing a view of literature of Im Sangwon, its aspects and meaning of literary criticism by extract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literature contained in 『Gyogeo Soaepyeon』 including 『Gyogeo Soaepyeon vol. Ⅱ』 that he wrote.
    The literary interest of Im Sangwon was extended to China's literature as well as our country's literature. He knew quite earlier on Qian Qianyi(錢謙益). He rented and read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Jeon Gyeomik from Kim Seokjoo(김석주). This indicated that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Qian Qianyi had been flowed in our country before at least 1683. Im Sangwon evaluated the sentence of Qian Qianyi as the best one in late Ming period. However, he refuted the attitude of Qian Qianyi who ignored Chosun and Chosun's poetry.
    Meanwhile, Im Sangwon considered basically Wang Shizhen(王世貞) as a good writer in Ming dynasty, but was starting to recognize critically his problems and limitation. In addition, Im Sangwon was very critical about the writing of Li Panlong(李攀龍), in which he considered an old literature of Jin and Han(秦漢) as a model. It seems that Im Sangwon, who learned about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Tang Shunzhi(唐順之) and Qian Qianyi who were ‘Dangsongpa(唐宋派)’ and had been critical at ‘Jeonhuchilja(前後七子)’, could earlier on criticize of ‘Jeonhuchilja’, including Wang Shizhen as compared with Kim Changhyup(김창협) and his disciples.
    The critical aspects of 『Gyogeo Soaepyeon』 assumes a critical shape through evaluation of neighboring degree of a poem to a model, comparison of superiority between poets and correspondence of chinese poets. It mainly adopts a way of dignity criticism. He considered poem of Seongdang (盛唐) as the best poem. However, he evaluated exemplary poem revered in the Tang age as a reference in practical criticism, not the same standard of Seongdang. In addition, he considered that the best poem could be generated when all things such as a study on phrasing and prosody, inborn talent and spirit of a poet, efforts to try creative writing by concentrating mind, and insight and knowledge based on a large amount of reading were provided in creative writing.
    The literary criticism of Im Sangwon shows the image of literary criticism moving from 17th to 18th century. Namely, there is a meaning in that he exhibited the image that put stress on a style of poetry of retro character and respecting the poetry of Dang in a history of poetry, and he figured out the questionable elements of classically literary spirit of ‘Jeonhuchilja’ and revealed the leading image of prose critique of 18th century connected to its criticism and conquest in a history of pr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