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갯벌 어로와 구술생애사 -무형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고- (Tideland Fishing and Oral Life History of Women -A Suggestion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2.04
28P 미리보기
갯벌 어로와 구술생애사 -무형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형유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무형유산학 / 7권 / 1호 / 217 ~ 244페이지
    · 저자명 : 변화영

    초록

    본 논문은 갯벌 어로에 참여한 여성의 구술생애사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갯벌에서 이루어지는 무형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갯벌 어로에서 꼬막 채취 작업은 오롯이 여성이 생산의 주체가 되는 일이다. 이에 벌교의 하장마을에서 널배를 이용해 꼬막을 채취했던 여성들을 대상으로 갯벌 어로와 관련된 전승 지식을 분석해 보았다. 하장마을여성들은 꼬막을 벌교시장이나 다른 지역의 오일장에 내다팔아 그 돈으로 생활에 필요한 품목들을 구입하거나 자식들을 위한 교육비로 충당하였다. 집과 ‘갯벌’을 오가며 가족은 물론마을을 위해 생산적인 일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왔던 여성들이야말로 꼬막 어로의 전승주체라고 할 수 있다.
    벌교 갯벌에서 진행되는 꼬막과 관련된 전통 지식이나 어로 작업과 관련된 전승 방식에대한 분석 작업을 수집된 구술생애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뻘배’라는 관 주도의 용어보다는‘널배’라는 현장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벌교꼬막축제’와 관련된 꼬막 어로가 무형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이어가는 장이라는 점에서 볼 때, 구술생애사 수집이 ‘벌교꼬막축제’의 기원과 활동이 누락된 공적 담론을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을밝힐 수 있었다.
    꼬막 작업에 참여한 하장마을 여성들은 서로가 하나의 공동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맨손으로 꼬막을 잡으며 꼬막의 생산과 보존에 힘써왔던 이들은 고령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동양식장을 꼬막 전문채취업자들에게 위탁하지 않고 있다. 무분별한 남획으로 자원이 고갈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갯벌이 주는 풍요로움을 지켜내고자 협업해 왔던 하장마을 여성들의 목소리가 배제된 채 벌교 갯벌과 널배 어업의 유무형의 문화유산적인 가치가 기록되고 있어 이에 대한 반성적인 차원의 연구가 앞으로도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ses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tideland fishing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based on life history of women who worked at tideland. The collection of cockles, a kind of tideland fishery, is other than women’s work. In this study, it examines carefully the transmitted knowledge of tideland fishery work, on the women who harvested cockles.
    Those women sold cockles which they harvested at Beolgyo marketplace or other 5-day markets. And they bought daily necessities and paid children’s school expenses by their income. Therefore those women are really the main agent of tideland fishery, who worked at tideland as well as house and did expand their area of activities beyond their own family and village.
    Through this study on the transmitted knowledge of cockles and the way of succession of tideland fishing, it find out that the ‘Neolbae’ fit for the name of a board boat which used at tideland fishery than ‘Bbeolbae’ meaning mud board. The former used by the ordinary people, but the latter designated by the authorities. And it finds out there is a contraction between the informal record or memory and official documents regarding on its origin and activities of ‘Beolgyo Cockles Festival’, a venue of sustenance of cockles fishery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Hajang village, the women who participated on harvesting cockles, recognized that they are a kind of community of transmission. So these women are the authentic host of harvest, sustenance and inheritance of the fishery of cockles at home and tideland. This study briefed that the only and/or proper way is oral life history, if anyone to know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harvesting cockles. However, the voice of those women are ruled out in public discourse, even though they are the host of transmission of fishing cockles.
    In its final analyses, it is needed to a reflective study on Neolbae, tideland fishery,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fis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형유산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