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갯벌체험교육프로그램 개발 - 무안 갯벌체험학습장과 생태갯벌과학관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a Tidal Flat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the Ecological Literacy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 Focused on the Muan Tidal Flat Experience Center and Ecological Ti)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2.10
19P 미리보기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갯벌체험교육프로그램 개발 - 무안 갯벌체험학습장과 생태갯벌과학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4권 / 3호 / 161 ~ 179페이지
    · 저자명 : 오숙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추후 지속가능한 인간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육적 안내를 해야 하는 부모의 생태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갯벌체험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태소양 및 갯벌에 대한 문헌조사 및 현장 답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 교육방법 등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갯벌의 교육적 가치, 생태학적 의미 등에 대한 이론교육과 갯벌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자녀와의 상호작용 방법 및 관련 시설 이용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시안에 대하여 유아교육 전문가 3인, 과학교육 전문가 3인과의 논의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5명을 대상으로 2회기의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 실시 시간, 이해도, 교수방법, 장소 등에 대한 적절성을 점검하여 수정ㆍ보완 후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활동으로는 ‘갯벌과의 만남’, ‘갯벌과 친해지기’, ‘갯벌 생물 알아보기 1-7’, ‘갯벌생태환경을 위한 노력 알아보기’, ‘갯벌생태보전의 필요성 느끼기’, ‘자녀와 함께하는 갯벌 체험 준비 1-3’, ‘자녀와 함께 하는 갯벌 체험 추후 활동’등이다. 본 프로그램의 진행자는 생태소양을 잘 이해하고 있어 이를 적절하게 안내해 줄 수 있는 관련 전문가들이다. 이러한 전문가들이 해당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강의, 시범, 모델링, 역할놀이 등의 방법으로 제시하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부모 자신의 갯벌생태환경에 대한 이해를 확립하고,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의 저변 확대와 활성화를 가져오는데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갯벌체험에 기초한 다양한 생태소양 함양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o cultivate the ecological literacy of parents who should educationally guide their young children so that their children can play a role as members of a sustainable human community later. The research problem to that end is to develop a tidal flat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for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literacy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The study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the composition,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 of the program were select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field surveys on ecological literacy and tidal flats. Thereafter, a draft proposal of an education program for theoretical education on the educational value and ecological significance of tidal flats, and methods of interaction with children that can be carried out at tidal flats, and the use of related facilities was developed. The validity of the draft proposal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discussions with three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ree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Finally,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time, comprehension, teaching method, location, etc. was checked by applying the program for two sessions to five parents with young children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program and finalize the final program. The activities that were finally selected include 'Encounters with the tidal flats', 'Becoming intimate with the tidal flats', 'Learn about creatures on the tidal flats 1-7', 'Learn about efforts for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tidal flats', 'Feel the necessity of the preservation of the ecology of tidal flats', 'Preparation for tidal flat experience with children 1-3', and 'Follow up activities after the tidal flats experience with children'. The hosts of this program are related experts who are well aware of ecological literacy and can properly guide the experience. These experts were requested to present their knowledge and skills in their relevant fields through lectures, demonstrations, modeling, and role plays. This program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parents' own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idal flats, and to bring about the expansion of the base and activation of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literacy. In particular, it could be considered that it has grea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ecological literacy cultivation programs on the basis of tidal fla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