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예술회관과 구분되는 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주도 재생시설 방문객의 장소감 비교: 온라인 리뷰와 바이텀 토픽모델(BTM)을 활용하여 (A Comparison of Sense of Place of Visitors to Culture-Led Regeneration Facilities Using Industrial Heritage Separated from the Culture and Arts Center: Using Online Reviews and the Biterm Topic Model)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3.08
41P 미리보기
문화예술회관과 구분되는 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주도 재생시설 방문객의 장소감 비교: 온라인 리뷰와 바이텀 토픽모델(BTM)을 활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문화정책논총 / 37권 / 2호 / 89 ~ 129페이지
    · 저자명 : 최지혜, 이신행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공 복합문화공간인 문화예술회관과 구분되는 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주도 재생시설에 대한 장소감을 비교 분석하여, 해당 시설이 재정비되는 시점에 방문객에게 가지는 존재 가치와 의미를 확인하였다. 우선 연역적 방식으로 장소감을 ‘장소 애착’, ‘장소 정체성’, ‘장소 의존성’, ‘장소 품질’로 선정하고, 바이텀 토픽모델(Biterm Topic Model, BTM)로 비교분석 사례인 문화비축기지, 세종문화회관, 충무아트센터, 마포아트센터의 구글 지도 온라인 리뷰로부터 귀납적 방식을 통해 잠재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주도 재생시설은 문화예술회관과 대조적으로 장소감 중 장소 의존성 관계의 비중이 두드러져 방문객들이 해당 장소에 대한 독특한 장소적 가치를 인식하고 있음을 포착하였다. 반면, 장소 품질 관계에서는 낮은 비중을 나타내었고, 장소 정체성 관계에서도 방문객들이 해당 시설에서 문화 콘텐츠의 부족함을 발견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주도 재생시설은 ‘과거의 유산을 기억하고 보존하여 현재의 문화와 함께 공존하는 장소’라는 점에서 존재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해당 장소가 내포하고 있는 차별성과 가치를 반영한 문화 콘텐츠를 양산해야 한다는 정책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주도 재생시설의 지속적 운영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정책 연구에 있어 바이텀 토픽모델 분석 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sense of place for a culture-led regeneration facility using industrial heritag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ublic cultural complexes such as culture and arts centers, to identify the facility’s existential value and meaning to visitors at the time of its reorganization. First, sense of place was divided into “place attachment,” “place identity,” “place dependence,” and “place quality” in a deductive manner. Then, using the biterm topic model (BTM), we derived potential themes from online reviews on Google Maps of “Oil Tank Culture Park” as the culture-led regeneration facility and comparison cases of “Sejong Cultural Center,” “Chungmu Art Center,” and “Mapo Art Center.” The culture-led regeneration facility using industrial heritage, in contrast to the culture and arts centers, had a prominent proportion of “place dependence” among sense of place, indicating that visitors recognized the unique value of the place. However, it showed low proportions of “place quality” and “place identity,” confirming that visitors perceived a lack of cultural content at the facility.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culture-led regeneration facilities using industrial heritage have existential value and meaning in that they are “places that remember and preserve the heritage of the past and coexist with the culture of the present.” The results also suggested a policy improvement direction in which cultural content should be produced to reflect the uniqueness and value of such places.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justification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culture-led regeneration facilities using industrial heritage but also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BTM method in policy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