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물관 전시 매체의 특성에 따른 관람객 경험의 차이: 안동지역 역사박물관의 비교 분석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Visito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Media,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useums in Andong, South Korea)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3.03
43P 미리보기
박물관 전시 매체의 특성에 따른 관람객 경험의 차이: 안동지역 역사박물관의 비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학연구 / 13권 / 1호 / 219 ~ 261페이지
    · 저자명 : 박지혜, 김병선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박물관 디지털 전시에 대한 관람객 경험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최근 건립된 지역 역사박물관의 전시 방식을 주제 및 매체의 특성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고, 이들 가운데 디지털 전시만으로 구성된 박물관과 아날로그만으로 구성된 박물관에서 관람객 전시 경험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지역 역사박물관을 현장 조사하여, 디지털 전시를 활용하는 대표적인 박물관으로 <안동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을 선정하였고, 아날로그 전시 박물관으로 동일한 지역과 유사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안동민속박물관>을 선정하여 관람객의 전시 경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역 역사를 주제로 하는 박물관에서는 아날로그 전시 매체의 활용이많았고, 지역의 생활 풍습을 주제로 하는 박물관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람객들은 디지털 전시가 아날로그전시에 비해 상호작용성이 더 높으며, 더 즐거운 경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반해 두 박물관 전시에 대한 유용성 및 용이성 평가와 교육적 효과에 대한 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영어초록

    The Ministry For Culture, Sport and Tourism of Korea announced a goal, of developing into a cultural power by 2012. To achieve this goal, Korean local government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facilities, including museums and libraries, in order to expand the nation’s cultural infrastructure. However, most of those construction projects are going without a master plan. In particular, high-priced digital media projects which require large budgets have been installed without detailed exhibition pla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digital media installations are utilized efficiently in the right place at exhibitions in recently built local history museums.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in museum exhibition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digital media used in museum exhibitions.
    The study also confirms whether the effect of digital media practically enhances visitors’ experiences at those particular exhibitions.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several items were selected as characteristics of digital exhibition media, such as interaction,utility, availability, and common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In addition, enjoyment, attention, and time warp were adopted as variables to explain the immersion experience of visitors in museums. To measur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variables such as general satisfaction, intention of revisiting and recommending to others were adopted.
    A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of digital media exhibitions in 20 museums opened after 2000. Researchers categorized those exhibitions according to the themes and the media environment of the exhibitions. Historic theme-centered museums mainly used analog media in their exhibitions, while folk life theme-centered museums mostly adapted digital media for their exhibitions. In terms of a visitor’s experiences in exhibitions and the educational effect consequential to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media, interaction was only significantly higher in museums with digital media,and the educational effec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eums with analog media and those with digital media. Third, with respect to a visitor’s immersion experience, enjoy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seums with digital medi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variables. Las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edia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seums with digital media.
    The results suggest that museums are able to enhance interaction between displays and visitors through digital media, but are not able to provide a perfect immersion experience for visitors.
    However, visitor satisfaction was higher with digital media usage,which shows that visitor satisfaction can be enhanced by using digital display me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론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