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시에 나타난 유배객의 생활 모습 -『정헌영해처감록』을 중심으로- (Life Style of Exiles Represented in Korean Poetry in Chinese -Focused on “Jeongheon Yeonghaecheogamrok (Jeongheon's Writing on Experience in a Place of Exil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0.09
29P 미리보기
한시에 나타난 유배객의 생활 모습 -『정헌영해처감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38권 / 3호 / 381 ~ 409페이지
    · 저자명 : 박동욱

    초록

    趙貞喆(1751~1831)은 자가 成卿·台城이고, 호는 靜軒·大陵이다. 그는 조선 시대 최장기 유배객으로 문학사에서 그리 알려진 인물은 아니다. 제주도에서 무려 27년을 謫居하였으며, 총 29년 동안을 유배지에서 떠돌았다. 그의 문집인 『靜軒瀛海處坎錄』은 어떠한 기록보다 상세하게 유배객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기록을 중심으로 유배객의 삶을 조망하였다. 유배객으로 열악한 생활환경의 고단함은 당연한 것이고, 음식과 의복은 보수 주인에게 전적으로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다양한 방식의 감시와 규제는 유배 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그중 점고는 특히 유배객에게 굴욕감과 자괴감을 주기에 충분했다. 독서는 철저하게 금지시키고, 서적을 소유하는 것도 읽는 행위도 감시하고 막았다. 또, 서신의 반입과 반출을 금지시켰다. 문밖출입도 용이하지 않을 만큼 제약이 심해 현지인과의 유대와 인간애 부분에서는 보수 주인만을 다뤘다.

    영어초록

    The courtesy name of Jo Jeongcheol(1751~1831) was “Seonggyeong” and “Taeseong” and his pen name was Jeongheon and Daereung. His collection of works “Jeongheon Yeonghaecheogamrok(Jeongheon's writing on experience in a place of exile)” describes the life of an exile in greater detail than any other records. His poetry is like a dairy in an exile. He wrote his life in an exile by period in great detai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fe of exiles with focus on the writing of Jeongheon.
    It is very natural for an exile to be exhausted because of poor living environment in a place of exile. However, it was very difficult for him to endure the life in a place of exile in reality because he couldn't help fully depending on the exile superintendent for eating and clothing. The residence was very small and exposed without protection to heat and cold as well as he was suffered from diverse kinds of insects and venomous snakes.
    Various types of surveillance and control made the life in a place of exile more difficult. In particular, checking appearance was enough to make exiles feel humiliation and shame. Reading was strictly prohibited and surveillance on whether to have books was more severe than that on reading books. Furthermore, it was banned to receive or send letters. Control and surveillance were very severe to the extent that an exile couldn't go out of a house even a step.
    Only exile superintendents could manage the relationship with local residents and humanity toward residents. While there wasn't known much about the exile superintendents, the writing of Jeongheon showed that exiles and their superintendents were not hostile each other all the time, unlike what we knew.
    Exile in the Joseon dynasty was very general phenomenon. Further studies need to examine various kinds of sensitive parts in the literature created during exile. This study will be a basis for multilateral approaches to the exile literature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