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역관 6인의 시선집 『海客詩抄(해객시초)』에 대한 고찰 -3종 필사본을 중심으로- (A Study on HaeGekShiCho(海客詩抄), the anthologies of poems composed by six Chosun interpreter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3.06
42P 미리보기
조선 역관 6인의 시선집 『海客詩抄(해객시초)』에 대한 고찰 -3종 필사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8권 / 1호 / 229 ~ 270페이지
    · 저자명 : LIU JING

    초록

    『海客詩抄』는 조선 후기 金奭準이 역관 同人 李容肅, 姜海壽, 金秉善, 卞元圭, 崔性學의 시문을 모아 편집한 詩選集이다. 李容肅이 『海客詩抄』를 중국에 가져가 淸人 董文渙과 許振휘에게 보냈고, 그들에게 평점을 받았다. 현재는 『海客詩抄』의 董文渙 필사본, 董文渙과 許振휘의 評點필사본, 金奭準이 편찬한 조선 草稿本 3가지만 전해 온다. 본고는 현재까지 밝혀진 이 3가지 필사본의 필사 상태, 『海客詩抄』에 수록된 작자와 내용, 『海客詩抄』의 편찬과 중국에서 유입된 배경과 구체적인 과정을 고찰했다. 『海客詩抄』가 조선에서 편찬된 배경과 중국에서 유입된 배경, 그리고 중국 문인에게 초록과 評點를 받을 수 있었던 배경은 조선 후기 위항 문학의 흥성과 위항문인들의 시선집 편찬활동, 조선 역관들의 燕行 및 淸에서 雅集과 詩社活動의 참여, 淸人이 조선 한시문헌의 편찬 및 董文渙이 편집한 『朝鮮詩錄』 등 3가지 요인으로 고찰했다. 『海客詩抄』는 金奭準이 1868년에 편집한 것이며, 1871년 역관 李容肅이 燕京에 갔을 때 淸人 董文渙에게 評點을 받았다. 또 ‘仙屛’에게도 評點을 받았는데, ‘仙屛’은 청인 許振휘라는 사실을 고증했다. 그가 『海客詩抄』를 評點한 시기는 1868년부터 1871년 사이였을 것으로 추론된다. 『海客詩抄』는 조선 후기 역관계층의 시문선집으로서, 조선 후기 위항문인들의 문학 활동에 관한 생생하고도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 시선집은 역관 金奭準이 동인들의 시를 選別하여 청대 문인이 조선 시문집을 편찬하는 데 자료를 제공했으며, 청인들의 評語를 받기 위해 편찬한 것으로 당시 한중 문화 교류사와 서적 유통사의 일면을 엿볼 수 있게 해 준다. 이와 같은 시문 자료는 한중 문학 교류 연구와 한중문화 교류사를 연구하는 데에 귀중한 토대로 활용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evaluation on three transcription of HaeGekShiCho(海客詩 抄), which is the anthologies of poems composed by six governmental secretary interpreters in the late Chosun Dynasty. Lee Yung-suk(李容肅) visited China and showed HaeGekShiCho to Qing`s scholars, Dong Wen-huan(董文渙) and Xu zhen-hui(許振휘) and asked them to evaluate it today, only three types of transcription are available, that is, HaeGekShiCho wtitten by Dong Wen-huan; the evaluated transcriptions co-written by Dong Wen-huan and Xu zhen-hui; a rough copy of HaeGekShiCho composed by Kim Suk-Jun(金奭準). This study evaluates the current state of these transcriptions, the authors and contents of HaeGekShiCho, the compilation of HaeGekShiCho, and a historical background of how HaeGekShiCho transcribe and circulate from China.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processes of its compilation within Chosun and its incoming from China.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ow HaeGekShiCho had a good evaluation from Chinese Scholars. these wer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middle-class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compiling activities of poems by the middle-class scholars, interpreters` diplomatic mission of Chosun Dynasty, the participation of literacy`s copying, comments and editing of Chosun`s Chinese literatures from Qing`s scholars. HaeGekShiCho was compiled by Kim Suk-Jun in 1868, when Lee Yung-suk visited China in 1871, he received a good evaluation of HaeGekShiCho from Dong Wen-huan who is the Chinese scholar in Qing`s Dynasty. also, he got the comments on HaeGekShiCho from XianPing(仙屛), who proved as Xu zhen-hui. this period was probably dying 1868 and 1871. HaeGekShiCho is a representative anthology written by the middle-class interpreters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provided the fresh and rich information on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e middle-class Korean scholars of late Chosun Dynasty. In particular, this anthology was selected the Korean interpreter, Kim Suk-Jun and offered the critical data for compiling Chosun poems and literatures by Chinese scholars who had worked during the Qing Dynasty. It is also an important data as it showed the aspects of the cultural exchanges, historical books`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is light, it should pay our attention that HaeGekShiCho is a valuable basis for studying on the literary exchanges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