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客詩存>> 속 朝·淸 문인 아회 문화와 교류 (Literary Gathering (A-hoi; 雅會) Culture and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iterators shown in 『Hanke Shicun (韓客詩存)』)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2.02
22P 미리보기
&lt;&lt;韓客詩存&gt;&gt; 속 朝·淸 문인 아회 문화와 교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99호 / 81 ~ 102페이지
    · 저자명 : 강필임

    초록

    본 연구는 <<韓客詩存>>에 나타난 朝·淸 문인의 교류를 중심으로, 연행 사절의 燕京에서의 일반적인 교류 활동과 이에 대한 양국 문인의 인식 양상을 분석하였다.『<<韓客詩存>> 속 양국의 교류 인물과 교류 장소, 역관과 三使의 독자 활동, 필담을 통한 소통 내용, 詩會 양상 및 雅會圖 창작 등을 아회문화로서 분석했으며, 顧炎武 사당 참배, 孝定太后 畫像 복원 및 <<韓客詩錄>> 편찬 협조 등 아회 밖에서 이루어진 양국 문인 교류도 분석했다.
    『<<韓客詩存>>에는 李尙迪, 吳慶錫 등 金正喜 인맥의 역관과 金永爵, 申錫愚, 朴珪壽 등 북학파 후대 문인들의 교류 활동이 주로 실려있다. 양국 문인은 필담을 통해 소통하며, 시가를 지어 창화했고, 雅會圖를 그려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인 활동 방식이었다. 조선 문인들은 經世致用을 주장했던 청 문인과 교류하며 顧炎武의 사당 제사에 참여하고 시가를 창화하는 등 중화 문화의 중심이었던 宣南 지역에서 정통 문화를 체험하고 교류하는데 적극적이었다. <<韓客詩存>>에 贈答詩나 唱和詩 등 시가가 많이 수록된 것도 이 시기 연행사절이 청 문인과 문학 교류를 적극적으로 전개했기 때문이다. 이는 19세기 燕行錄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청 문인과의 문학 교류 내용에 쏠려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반면 양국이 처한 국내외 정세가 위급했음에도 청의 정세에 대한 언급이나 기록은 자제했다. 이처럼 <<韓客詩存>> 속 朝·淸 문인들은 양국 문인의 교류를 君子之交의 기회로 인식하며 중화문화를 향유하거나 과시하는 기회로 여겼고, 문학을 통해 시대를 고민하거나 위급한 국제 정세에 대한 대안을 찾는 기회로 삼지는 않았다.
    『<<韓客詩存>>은 청 문인에 의해 전해지던 자료를 수록한 것이므로, 직간접적으로 청 문인의 인식이 반영될 수 밖에 없다. 교류 관련 기록 대부분은 중화 문화의 정통성을 확인하는 활동이고 그 공간적 범위도 선남 지역에 국한되는 등 한족 중심의 문화가 기록되었다. 그런데 청 문인들은 조선을 東國으로 표현하거나, 東夷나 外藩으로 표현한 경우에도 조선의 문화가 중화 문화와 뿌리가 같다거나 문화적 수준이 높다고 표현된다. 이것은 조선을 ‘夷’로 보는 순간 ‘淸’의 정통성과 선남지역에 거주하는 한족 자신들의 성격이 충돌하는 모순적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선 문인들이 尊明 의식이나 中華 정통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표현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지지는 않는데, 이는 華와 夷를 구분은 하되 淸을 인정하는 즉 북학파 이후 反淸的 華夷觀이 극복되고 있었고 또 청 문인들 의해 그러한 문헌 자료만 선별되어 전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analyzed what both Joseon and Qing dynasties’ literators, living in the same times, had thought about the general activities of Joseon’s delegation to Yanjing(燕京) and those literators’ exchanges focusing on the exchanges between the literators of Joseon and Qing dynasties shown in 『Hanke Shicun (韓客詩存)』. 『Hanke Shicun (韓客詩存)』 describes mainly about the exchange activities of those interpreter officials connected to Kim, Jeong-Hee(金正喜) such as Lee, Sang-Jeok(李尙迪) and Oh, Gyeong-Seok(吳慶錫) and those literators of Latter Bukhak School such as Kim, Young-Jak(金永爵), Shin, Seok-Woo(申錫愚) and Park, Gyu-Soo(朴珪壽). The literators of the two countries used to communicate in writing and responded to each other via poems, while generally making a painting on the literary gatherings to record the occasions. Joseon literators were active in experiencing and exchanging with the authentic culture in the area of Xuannan (宣南), the center of Zhonghua (中華) culture by exchanging with Qing literators who claimed Gyeongse Chiyong (經世致用), participated in the rituals of the shrine for Gu Yanwu (顧炎武) and composing Changhe poems. It is because the Joseon delegation to Yanjing at that times had active literary exchanges with Qing literators that Hanke Shicun recorded many poems such as presenting and responding poems or Changhe poems. This is also because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in the 19th century Yanjing delegation records was focused on the literary exchanges with Qing literators. As such, the literators of both Joseon and Qing shown in Hanke Shicun recognized the exchanges of the two countries’ literators as the opportunities for noble men’s friendly exchanges to enjoy or parade Zhonghua culture, whereas they did not take it as the opportunities to consider the issues in the times and find alternatives to cope with the urgent international situations.
    Hanke Shicun contains the materials handed down among Qing literators, thus reflects the recognition of Qing’s literators. Most records on exchanges are activities confirming the authenticity of the Zhonghua culture and the spatial scope is confined within the area of Xuannan, recording the culture focusing on Han people. However, Qing’s literators express Joseon as Dongguk (東國; Dongguo in Chinese) or even in cases when they express Joseon as Dong-i (東夷; Dongyi in Chinese) or Woebeon (外藩; Waifan in Chinese), they described that the culture of Joseon originated from the same root of Zhonghua or had high cultural standards. This may be explained that for them, seeing Joseon as an ‘Yi (夷)’, there occurs the contradictory situation where the authenticity of ‘Qing (淸) and the identity of themselves, Han people residing in the area of Xuannan. Compared to this, Joseon literators did not show much recognition on respecting Ming or maintaining the authenticity of Zhonghua. This shows that, after the Bukhak School, Joseon was overcoming the anti-Qing, Hua-Yi viewpoint by differentiating Hua and Yi but admitting Qing as well as that, by the Qing literators, only those literary materials reflecting such attitudes were selectively handed d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