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海客琴樽第二圖> 제작 과정 (A Study on the Making Process of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09.12
26P 미리보기
&lt;海客琴樽第二圖&gt; 제작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0호 / 509 ~ 534페이지
    · 저자명 : 정후수

    초록

    현재 실물이 전해지지 않는 <海客琴樽第二圖>는 1845년 1월 13일 秋史 金正喜가 李尙迪에게 그려준 <歲寒圖>를 燕京에서 관람하는 모습을 그림으로 옮겨놓은 ‘雅會圖’이다. 당시 이상적은 1844년 使行의 譯官으로 연경을 향해 가면서 淸의 文士들에게 ‘題辭’를 받아오겠다는 뚜렷한 목표를 갖고 출발하였다.
    그리고 그 다음해인 1월 張曜孫과 吳贊을 중심으로 한 淸의 知人들에게 이 <세한도>를 펼쳐놓고 각자에게 제찬을 요구하였다. 이 모임을 주선한 장요손은 그림 관람 장면을 화가인 吳儁에게 부탁하여 하나의 그림으로 옮기게 하였다. 이 때 탄생한 그림이 바로 <해객금준제이도>이다. 이제까지 살펴본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그 장소는 燕京 宣武門 兵部窪中街에 있는 吳贊의 ‘留客納凉之館’이며, 그림을 그린 화가는 張曜孫과 같은 江蘇省 출신인 吳儁이다. <해객금준제이도>에는 모두 18명이 들어있다. 그리고 이 모임의 주선자는 張曜孫이다. 이와 같은 기초적인 자료를 토대로 앞으로는 <海客琴樽第二圖>에 추가로 附記된 ‘題辭’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Haegaekgeumjunjeido> is an “ahoido(雅會圖)” that depicts a group of people appreciating <Sehando(歲寒圖)>, which was painted by Chusa(秋史) Kim Jeong-hee(金正喜) and presented to Lee Sang-jeok(李尙迪), in Yanqing(燕京). Before heading for Yanqing as an interpreter for the envoys in 1844, Lee Sang-jeok had a clear goal of getting a “jechan(題辭)” from the Chinese literary men. In January of the following year, he presented <Sehando> to a group of Chinese people he knew including Jang Yo-son(張曜孫) and Oh Chan(吳贊) and asked each of them to give him a jechan. Holding the gathering, Jang Yo-son had an artist paint a picture depicting the group appreciating the painting, and that's how Haegaekgeumjunjeido was created.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aegaekgeumjunjeido is an ahoido that describes a group of people appreciating Sehando on January 13, 1845. The place was Oh Chan's “Yugaeknapryangjigwan(留客納涼之館)” located in the Byeongbuwajungga(兵部窪中街) of Seonmumun(宣武門), Yanqing. The artist was Oh Jun who's from Jiangsu like Jang Yo-son. <Haegaekgeumjunjeido> depicts total 18 individuals. The one who held the gathering was Jang Yo-son. Based on those fundamental data,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s about “jechan” added to Haegaekgeumjunjeido in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