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문 한국사 개설서의 현대사 서술과교육적 활용 방향 분석 -Michael J. Seth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 :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3rd Edition, 2020)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Description on Contemporary History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Use of a Korean History Introductory Texts in English -Focusing on A Concise History of Korea : From Antiquity t)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3.05
43P 미리보기
영문 한국사 개설서의 현대사 서술과교육적 활용 방향 분석 -Michael J. Seth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 :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3rd Edition, 2020)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91호 / 99 ~ 141페이지
    · 저자명 : 금보운

    초록

    본고는 미국의 한국 현대사 연구사 및 경향을 반영한 개설서인 A Concise History of Korea의 현대사 서술을 검토함으로써 영어로 진행되는 한국 현대사 교육의 의미를 제시하고, 대학 강의를 통해 한국 현대사 지식을 전달하는 것의 의미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양한 국적의 학생을 대상으로 영어로 진행되는 한국 현대사 강의의 방향을 크게 두 측면에서 제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A Concise History of Korea의 현대사 서술을 분석했다. 우선 한국 현대사를 이해하는 데 냉전적 관점에서 탈피하여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 협조를 도모할 수 있는 관점을 형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한국의 분단 및 전쟁, 이후 경제발전과 민주화 과정에서 미국의 정치적 목적을 제거한 채 점령정책과 참전을 강조했다. 이와 같은 서술은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질서 내에서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적 해결을 도모하는 데 필수적인 미국의 개입을 역사적 책임이 아닌 시혜로 바라보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경계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하나는 근대화 및 근대국가의 형성을 최종적 목표이자 지향점으로 설정하지 않는 것이다. 이 책은 한국 현대사의 전개 과정을 근대국가의 형성과정 혹은 근대화 과정으로서 서술하고 평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은 근대화를 善으로 규정함으로써 한국 현대사의 전개 과정에서 놓친 가치는 무엇이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한계를 갖는다. 무엇보다 통일을 근대국가 완수의 조건이 아니라, 근대화 과정에서의 모순으로 인식하고, 주권인식의 확대와 현재적 양상을 반영하여 그 극복 방향으로서 평화체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대의 문제는 유교라는 한국의 전통적 관점에서 발현된 것이 아니라 근대화 지향의 과정에서 내재된 문제로 보는 것이 더욱 생산적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education o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conducted in English at universities by examining the contemporary history description of A Concise History of Korea, an introductory document that reflects the accumulation and trends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this article examines the direction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lectures in English for students of various nationalities in two main aspects, and analyzes the contemporary history description of A Concise History of Korea based on these.
    First of all, in understanding Korean contemporary history,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Cold War perspective and form a view point that can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resolve the Korean Peninsula issue. It can be said that A Concise History of Korea deleted the political purpose of the US on the division, war,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But this article pointed out that description should be critically reviewed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US for the current issu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other is not to set modernization and the formation of a modern nation as the final goal and direction. This article suggest that this perspective has limitations in critically examining what problems were missed i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proces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unification as a contradictio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not as a condition for the completion of a modern state. Also it is important to present a peace regime as a way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of the modernization by reflecting the expansion of recognition on sovereignty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addition, it is more productive to understand current issues as those inheren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not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Korean perspective of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