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플랫폼 분야의 부당공동행위에 대한 소고 - 2개 단기 구인구직 플랫폼의 부당공동행위 건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artels in the Online Platform Sector – Focusing on the Cartel Case Between Two Online Job-Posting Platforms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4.11
25P 미리보기
온라인 플랫폼 분야의 부당공동행위에 대한 소고 - 2개 단기 구인구직 플랫폼의 부당공동행위 건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연세법학 / 46호 / 357 ~ 381페이지
    · 저자명 : 고인혜

    초록

    본 논문은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경쟁법 집행 논의를 부당한 공동행위 측면에서 살펴본다. 특히 2개 온라인 단기 구인구직 플랫폼 사업자의 부당한 공동행위 건 관련 2023년 공정거래위원회 의결을 분석하여 온라인 플랫폼 분야의 무료 서비스 및 이후 유료전환 과정에 발생하는 경쟁법 집행 쟁점을 논의한다. 이를 통해 2개 이상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가 존재하는 과점 시장에서 무료서비스의 유료 전환 시점에 상호 이용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담합 유인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고 경쟁당국의 보다 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아울러 무료서비스, 다면시장, 동태적 특성 등 온라인 플랫폼 분야의 주요 특징이 가격담합의 위법성 심사 과정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주요 특징들은 공정거래법 상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및 기업결합 심사 시와 달리, 본 사건의 핵심 쟁점으로 논의되지는 않았는데 이는 가격 인상 합의로 소비자 후생 감소가 확인된 이상 경쟁제한성을 강하게 추정하는 가격담합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가격담합 이외에도 온라인 플랫폼 분야의 경쟁사 간 합의는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으므로, 문제되는 부당공동행위가 초래하는 경쟁제한효과의 특성에 따라 위법성 심사기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를 착취남용과 배제남용으로 구분하여 위법성 판단 기준을 달리하는 것처럼, 가격인상 등 직접 소비자 후생감소를 초래하는 담합인지, 경쟁사업자 배제 등 관련 시장의 경쟁을 구조적으로 약화시키는 담합인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건과 같이 무료서비스의 거래조건 악화를 통해 유료 전환을 유도하는 담합의 경우, 거래조건 담합이라 하더라도 사실상 가격인상과 같이 소비자 후생을 직접 감소시키므로 경성담합으로 평가할 여지가 있고, 반대로 합의 대상이 거래지역이라 하더라도 시장의 구조적 경쟁을 약화시키는 유형이라면 심층적인 경쟁제한성 분석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합의의 대상이 가격인지, 거래조건인지에 따라 1차적으로 경성 또는 연성 담합 여부를 판단하는 현행 심사기준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 in the online platform sector, specifically focusing on unlawful cartels. It analyzes the 2023 decision by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KFTC) regarding collusion between two online short-term job platforms, highlighting the competition law issues arising from free services and their subsequent transition to paid models.
    Through this analysis, the potential for cartel behavior in oligopolistic markets with multiple platform operators is explored, particularly during the shift from free to paid services, where platforms may be incentivized to collude in order to prevent user churn and maintain market stability.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a more proactive approach by competition authorities to address such risks.
    Additionally,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online platforms—such as free services, multi-sided markets, and the dynamic nature of platform competition—a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legal assessment of cartel behavior. These features were not central to the KFTC’s decision, which primarily focused on the clear consumer welfare harm resulting from price increases following collusion.
    Beyond price-fixing, online platforms may engage in collusion in various other forms that can produce different types of anti-competitive effects. For example, the assessment of cartel conduct should distinguish between collusion that directly harms consumer welfare through price increases and collusion that weakens competition in the market through exclusionary practices or other structural effects.
    In conclusion, the current competition law framework, which distinguishes between “hard” and “soft” cartels based on the nature of the agreement (whether it concerns price or other terms), requires further refinement. A more detailed and context-sensitive approach is needed to address the variety of anti-competitive behaviors that may arise in the online platform se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4 오후